조 준 상 목사

▲ 조준상 목사
한민족이란 기자조선 말왕 기준이 남쪽으로 내려와 익산에 도읍하여 국명을 ‘한(韓)’이라고 한데서 비롯되었다고 보는 것이 보편적인 견해이다. 한민족에서 ‘한’은 ‘대한문(大韓門)’, ‘한강(漢江)’처럼 ‘대(大)’, ‘일(一)’, ‘다(多)’ 또는 성대(盛大)‘, 강성(强盛)의 뜻이 있는 동시에 ’거세간(居世干), 조간(鳥干) 등 ‘왕(王)과 동계의 말로 간주하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한민족은 보편적으로 ‘조선사람’, ‘백의민족’ 또는 ‘배달민족’이라고도 일컬어지고 있다. ‘조선사람’이란 말은 고조선 삼국(단군조선, 가자조선, 위만조선)의 국명이 모두 ‘조선’이었기 때문에 그렇게 불렀다. ‘백의민족’이라고 한 것은 한민족이 흰옷을 입기를 좋아했고, 일제하에서는 저항의 의미를 갖고 있다. 따라서 민족적, 주체적인 명령이라고 할 만 하다. 그러나 이집트나, 바벨론 같은 데서도 백의를 좋아했다. 그것을 민족명으로 사용하는 데는 문제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한민족을 배달민족이라고 불리는 것은, ‘배달’은 ‘백산(백두산)’을 의미하는 ‘박달’로서, ‘박달’ 또는 ‘단군’의 ‘단’이라고 이기하여 오다가, ‘’벡‘의 독음이 ’박‘에서 ’배‘로 변한 까닭에 ’배달‘이라고 발음하게 되었다. 그것을 취음하여 ’배달‘이라고 부르게 된 측면도 있고, 한편으로는 ’백‘과 ’배‘가 변음한데서 비롯된 명칭이라는 측면도 있다.

결국 언어 형태론적인 입장에서 볼 때, 배달이란 말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박달’이라고 고쳐 부르는 것이 더 타당하다. 실은 ‘난랑’이나, 평양도 ‘박달’이라고 향찰로 읽어야 한다. 한민족의 ‘한’은 본시부터 민족의 요람지나, 민요명을 가리키는 말이 아니다. 기자조선의 말망 ‘기준(대장구 탁이라고 함)’이 남천하여 익산에 도읍하여 국명을 ‘한’이라고 한데서 비롯되었다고 보는 것이 국사학자들의 정설이다.

왜인들이 그것을 ‘카라’라고 읽는 것은 한이 망한 뒤에 그 영역에 가락국을 비롯한 6가야국이 들어섬에서 비롯된 것이다. 따라서 민족명으로서는 조선이나, 한보다 ‘박달’이 나은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한 뿌리를 강조하며 같은 뿌리로서 공간적, 시간적 위상의 차이에 관계없이 하나로 뭉칠 수 있다는 점에서 ‘한민족’이라는 말은 어휘론적으로 무방한 선택이다. 여기에서 조심해야 할 것은, 우리말도 ‘한민족어’라는 의미로서는 ‘한어’라고 해야 마땅하다. 그러나 한글을 썼을 때에 한어(韓語)는 한어(漢語)로 오인할 수 있기 때문에 관례대로 ‘한국어(韓國語)’라고 부르게 되었다.

한민족을 단일민족이라고 하는 것은, 한민족이 한가지의 말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지, 결코 인종적 순수성 때문은 아니다. 비교적 소수이기는 하지만 여러 인종이 모여서 이루어졌다. 북쪽은 이마가 평평하며 광대뼈가 튀어나오고 둥글넓적한 얼굴을 한 사람이 많은 반면, 남쪽은 이마가 둥글며 광대뼈가 튀어나오지 않고 다소 가름한 얼굴을 한 사람이 많다.

이것은 이웃나라인 일본과 중국도 마찬가지이다. 이들 나라도 여러 민족이 모여서 나라를 이루었지만, 일본어와 중국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일본민족’, ‘중국민족’이라고 말한다. 분명한 것은 언어는 민족의 뿌리를 찾는 수단으로서 매우 중요하다. 그렇다고 언어가 절대불변이라는 것은 아니다. 세계적으로 작은 민족들은 강대국들의 침략과 침입으로 인해 통치자 국가에 언어를 빼앗겼다(남미, 아프리카 등). 또한 소수민족이 대민족을 침략했어도, 여기에 동화되어 언어를 잃어버린 경우도 있다(청나라를 세운 만주족).

우리민족도 고대의 여러 인종들이 무력이나, 문화를 배경으로 유입되었다. 길약족과 동계의 토착민이 한민족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한국어의 문법만은 여전히 길약어와 동계의 것이 근간을 이루 왔다.

그러나 토착 한민족은 고대 상당기간 피지배계층으로 전락, 인종명은 왕조사에 묻혀버렸다. 이와는 반대로 왜래의 인종은, 토착민에게 동화되어서, 그들의 왕조사와 문화에 근 흔적을 남겼을 뿐, 그들은 청나라를 이룩했던 만주족처럼 인족으로서는 소멸되고 말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과거에는 여러 민족들이 섞여 살았지만, 그들은 절대다수를 차지하는 토착민의 언어와 문화에 동화되어 지금처럼 단일 민족화 했다. 언어도 토착민의 언어인 한국어를 단일어로 사용하는 것이다.

사)한민족세계선교원 원장

저작권자 © 기독교한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