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 종 문 목사

기독교선교는 서양세력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었다. 한국에 대한 일본의 침략에 대해서는 정치 불간섭의 노선, 혹은 중립정책을 처음부터 원칙으로 삼았다. 처음 한국에 온 선교사들은 ‘정교분리정책’을 주창하며, 피압박 민족의 의식과 역사를 철저하게 몰각시켰다.

선교의 정치적 중립노선은 1897년 이래 미국에 의해서 요청되었으며, 1912년 신민회와 관련된 105인 사건을 계기로 해서 선교부의 공식정책으로 천명되었다. 1901년 장로교 공의회는 정치불간섭정책을 공헌했다. 같은해 아서 브라운이 미국 선교부에 보고한 내용을 보면, 그것은 확연하게 드러난다.

“현지 선교사들은 선교부와 같은 보조를 취하여 합법적으로 성립된 관권을 존중하고, 그들이 하는 일을 필요 없이 방해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 할 것이다. 또한 그 나라의 모든 법령을 준수하여 자기들이 일하고 있는 나라의 정부에 대항하면서 기독교를 전하는 것보다 그리스도의 제자로서 다소간 불의가 있더라도 참고 견뎌야 한다”

장로교 선교부의 정책은 한국에서의 일본 침략세력을 합법화시켰고, 한국교회를 지도했다. 이 보고는 순수하게 영적인 복음은 정치를 초월한다는 복음의 이해가 함축되어 있다. 그러나 순수복음 선교는 이미 세계 지배세력과 결부되어서, 그것들의 길을 평탄하게 해 주는 정치성을 견제하고, 또 내포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순수복음 선교는 없다.

정치와 선교의 완전분리를 주장한 모펫은 처음부터 평범하고 소박한 복음을 전했다고 한다. 평범하고 소박하며 순수한 복음선교가 가능하다고 믿었다. 그러나 기독교 선교의 현실적 상황은 그렇지 못했다. 한마디로 착각 속에 있었다. 평양에 있던 블레어도 별반 다르지 않았다.

“우리 선교사는 한국교회가 일본인을 미워하는 것을 회개 할 뿐만 이나라 하나님을 거역하는 모든 죄에 대하여 똑똑한 깨달음을 자져야 될 줄 안다. 우리는 국가사정에 상심한 사람들이 마음을 돌이켜서 주님과의 개인적 관계에 성의를 두어야 한다고 느낀다”

블레어의 개인주의적 죄 개념은 완전한 침략세력의 집단적 세계적 죄악을 간과해버렸다. 그의 기독교 선교 전체가 이미 그 세력과 결부되어 있었음을 증명해준다. 1907년에 보도된 한 장로교 선교사의 고백은 민족의식을 몰각한 선교의 잘못을 그대로 드런낸다.

“구체적 원조를 주지 못하는 나는 교인들의 중대사건에 무관심하고, 또 나의 사랑은 공허한 것으로 한국인에게 해석되어, 결국 많은 사람들이 교회에서 떠나가고, 이따금 다른 기관에 가입하기도 한다”

북장로교 선교사 쿤스는 선교부에 보낸 서한에 “선교사들은 한인들이 일인들에게 복종하는 것이 의무이다”고 밝히고, “독립을 위한 일을 하지 말라고 타일렀다“고 적고 있다. 당시 영미선교사 대부분이 이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한마디로 영국 앵글로색슨족의 기독교를 내세운 세계화, 선교는 토착민들을 살해하면서 아메리카에 들어갔다. 그들이 일본의 식민지 세력과 결탁해 한국에 들어 왔다.

사실 한국선교가 민족의 아픔을 몰각하고, 정치적 중립을 표방하면서, 많은 교인들이 선교사들에게 실망하고, 교회를 떠났다. 이같은 시각은 감리교회도 마찬가지였다. 그럼에도 기독교인들의 마음속에는 작게나마 민족의식이 자라나고 있었다. 구약의 출애굽 탈출공동체를 보면서 스스로 깨닫기 시작한 것이다.

예장 통합피어선 증경총회장

저작권자 © 기독교한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