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단(異端), 끝이 다르다는 말이다. 하나님을 믿고, 성서를 최고의 권위로 내세운다는 점에서 주류 기독교와 별반 다를 것이 없어 보이나, 결국 그 끝은 다르다는 것이다. 잘못된 성서해석을 근거로 하며, 사람들의 연약함을 노리고 은밀히 침투해 들어오는 그 이단들의 끝 모습을 보면, 하나님의 자리에 특정 교주가 앉아 있는 모양새이다. 이러한 모습들이 드라마와 메스컴을 통해 방영되면서 일반인들이 이단이 기독교라는 판단하는 잘못된 인식이 자리 잡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기독교 사상 10월>에서는 이단 문제를 특집으로 다뤘다. 교계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큰 파장을 일으킨 신천지 문제와 그에 대한 기독교방송(CBS)의 대응을 변상욱 기자가 소개하며 여전히 큰 문제로 남아 있는 신천지에 대해 경계하는 글이 먼저 실렸다. 또한 허호익 전 교수(대전신학대학교)는 기독교에서 파생된 여러 이단 기독교의 뿌리가 어디로 거슬러 올라가는지를 규명했으며, 탁지일 교수(부산장신대학교)는 “성공하는 교주들의 7가지 습관”이라는 부제에서 알 수 있듯이, 이단 교주들에게서 발견되는 공통점이 무엇인지를 중점적으로 서술했다.

책 속에서는 한 가정을 넘어 교회와 사회를 파국으로 이끄는 이단 문제를 우리가 주시하고 잘 대처하여, 더 이상의 피해와 손실이 생겨나지 않기를 간절히 소망했다. 또한 이단과 대처하면서 기독교가 본래의 정체성을 회복하고 더 분명하게 할 때 교회에 대한 사회적인 신뢰 또한 한 걸음 회복하기를 희망했다.

먼저 CBS 변상욱 기자는 ‘CBS ‘신천지 OUT’ 프로젝트의 추진 경과 및 과제’란 제목으로 초창기 신천지 문제가 불거질 시기부터 CBS의 대응과 점차 전면적인 쌈우의 양상으로 전개되기까지의 과정을 설명했다.
특히 신천자와의 싸움을 위해 구성된 태스크포스(TF)는 그들의 활동을 ‘신천지 OUT 캠페인’이라는 캐치프레이즈를 선택하였고, 1. 고발과 폭로, 2. 치유와 회심, 3. 차단과 고립이라는 활동의 큰 방향을 잡았음을 단계별로 풀었다.

구체적으로 어떤 방식과 프로그램으로 신천지와의 싸움을 전개해 나갔는지를 말하며, 어떤 전략이 성과를 거두었는지 또 반대로 대응 과정에서의 CBS의 한계는 무엇이었는지를 논했다.
 

이어 허호익 전 교수(대전신학대학교)는 ‘한국의 이단 기독교의 교리적 계보’란 제목으로 한국에 있는 여러 이단 기독교의 뿌리가 평북 철산의 김성도 권사라고 진단하고 그 뿌리가 어떤 방식으로 계승되었는지를 밝혔다.

먼저 김성도가 2회에 걸쳐 예수를 직접 만나 받은 계시에 따른 신앙은 이후에 발흥하는 이단에서 보여주는 성서의 권위 무시와 직접 계시의 강조 등의 효시가 되었다고 말한다.

이를 통대로 직통 계시에는 문선명을 비롯해 이만희, 신사도운동, 큰믿음교회의 변승우, 다미선교회 등 여러 이단에서 변형된 형태로 공통적으로 나타났고, 결국 이 모두가 개인의 착각이나 망상, 가식에 따른 허위임이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또한 김성도에게서 볼 수 있던 교주의 신격화 문제 또한 안상홍의 하나님의교회와, 박태선의 전도관, 문선명의 통일교, 용문산의 나운몽, 이만희의 신천지 등에서 그 뿌리를 이어가고 있다고 설파했다.

그 외에도 허 전 교수는 원죄, 피가름 교리, 병자 치유와 생수 교리 등 여러 이단적 교리들을 논하며 우리가 경계해야 할 내용을 알려준다.

탁지일 교수(부산장신대학교)는 ‘이단 교주들의 공통점: 성공하는 교주들의 7가지 습관’이란 제목으로 지금껏 사회적인 파장을 일으킨 이단 교주들을 성공한 교주로 칭하며 그들이 보여주는 7가지 공통점을 지적했다.

탁 교수는 △몰라야 성공한다-성서를 잘 몰라야 독창적인 성서해석이 가능하다 △믿어야 성공한다-자신이 신격화된 존재라는 믿음이 확고해야 한다 △바꿔야 성공한다-성서의 내용을 자의적•임의적으로 바꾸어 배타적인 교리로 바꾸어야 한다 △넘어야 성공한다-자기가 따르던 교주를 딛고 넘어서야 한다 △눌러야 성공한다-자기의 자리를 넘보는 후계자(특히 남성 2인자)를 눌러야 한다 △벌어야 성공한다-신도들의 헌금과 노동력 착취를 통해 돈을 벌어야 한다 △속여야 성공한다-죽어도 죽은 것이 아니고, 죽지 않고 영원히 살 것이라고 속여야 한다 등을 지적하고, “오늘날 정통이라 불리는 교회의 목회자는 과연 이런 모습에서 자유로운지 반성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저작권자 © 기독교한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