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 수 강 목사

새해 들어서도 대형 교회를 향한 세습 문제는 삭아지지 않고 소란스러움은 계속될 전망이다. 그런데 농어촌 교회의 아주 작은 교회는 세습을 하려고 해도 맡아서 할 교역자가 부재다. 그 교회의 담임자의 자녀에게 맡기려 해도 교역자의 길은 원하지만 아주 작은 교회를 맡으려고 하지 않는 실정이다. 역시 대기업처럼 대형 교회는 그 자산과 엄청난 성도들의 수가 있는 재산적 가치 때문에 수고하지 않은 자녀들에게까지 대물림한다는 일에 대해 각종 단체가 나서서 목소리를 높이는 중이다. 이는 보통보다 너무 많은 재산적 가치 때문에 일어나는 갈등이다. 만약 대형교회로 단일적인 교회로 한국 최대의 교회를 자랑하지 않는다면 누가 그 교회 앞에서 일인 시위를 하겠으며 메스컴에 오르락내리락도 하지 않을 것 아닌가?

그래서 한국교회가 지금부터라도 한 가지 실행에 옮겨야 할 사항은부유한 교회 즉 대형 교회들의 재산 분할하는 일이다. 종교대기업을 자랑하지 말고 소 교회로 나누어 재산적 가치를 스스로 축소시킬 때에 아마도 세습이다 아니다 갑론을박의 대상에 오르지 않게 될지도 모르는 일이다. 그런데 한국교회의 중대형 교회가 그만큼 성장하기까지 우여곡절이 많이 겪으면서 성장에 성장을 거듭해 오늘의 모습을 이루었다고 자위하고 있다.

문제는 성장한 교회에 적을 두지 않을 뿐 아니라 성장에 동참치 않고 옆에서 바라만 보고 있다가 그 교회가 중형에서 대형으로 성장에 성장을 거듭할 때에 아무 것도 하지 않았음 물론 이거니와 성장한 대형 교회와 아무 상관이 없고 단지 같은 크리스찬이라는 사실 하나만으로 성장에 대한 혐오감을 드러내는 모습은 조금 심한 것 아닌가 하고 생각되어진다. 혹시 오늘날 기승을 부리고 있는 이념과 사상으로 인해 종교 부르주아에 대한 거부로 인해 기독교도라고는 하지만 사실이 아니라 믿지만, 혹 마음속에 맑스 레닌 사상을 가진 자들이 성장한 대형 교회 보다는 그들이 가진 부와 재물에 대해 사회주의 또는 공산주의 이념으로 반대운동을 하는 것 아닌가 하는 염려도 생기게 된다. 그러나 이들이 대형 교회에 대해 벌리는 일련의 투쟁은 바로 단일 교회가 너무 비대하여 작은 교회 또는 사회의 약자들을 외면하고 있거나 종교 패권으로 인해 영세한 교회에 실망만 안겨주는 일이 일어날까 하는 염려로 인해 대형교회에 대한 거부감을 드러내는 것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해결 방법은 하나 밖에 없다. 대형 교회가 성경에 계시된 사도행전의 초대교회처럼 대형 교회를 해체하여 분산해 중소형 교회로 재편하는 일이다. 작고 초라한 개척교회, 작은 교회들이 설립된 지 얼마 안가서 문을 닫는 사례가 많아지는 이유 가운데 하나는 초 신자들이 대형 교회를 선호 한다는 이유 때문이기도 하다. 개척교회 나가서 봉사하면서 교회 성장의 일원이 되어야 하다는 생각은 일반 성도들이라면 누구나 마음속에 간직하고 있다. 그 생각이 성령의 인도임을 알고 있다. 그런데 막상 개척 도상 교회나 작은 교회에 나가면 열 가지가 다 열악한 환경으로 일인 성도가 감당해야 할 일이 너무 벅찬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현대 교인들은 하나님을 믿는 일에는 빠질 수 없고 개척 교회에 나가면 귀찮은 일이 많기 때문에 대체적으로 교인들이 많은 중대형 교회에 나가서 하나님도 믿고 예배도 드리고 귀찮은 일 하지 않기 때문에 일석삼조로 대형 교회를 선호 하는 것 같다. 물론 대형 교회의 지도자가 유능해서 교회가 성장하는 예도 있지만, 교회가 대형화 되는 이유 가운데 하나는 이러한 성도들의 심리적인 현상과 하나님을 믿기는 믿되 조용하게 누가 자신을 알아보지 않도록 하기 위한 한 방법인 자기 도피적인 현상이 모이는 곳에 계속 더 모이는 기현상이 현실화 되어 어느 날 대형교회가 되는 것 같다고 보기도 한다.

이제 교회는 하나님 앞에 교회로서 본분을 다하고 성도들은 신앙이 자기중심적이 되지 않게 하는 방법으로 대형 교회를 지역별로 나누는 것이 고육지책(苦肉之策)이라 생각한다. 초대 교회는 성도들의 모든 것을 교회에 모여드는 가난하고 의지할 자가 없는 자들에게 재물을 나누어 주었고 사랑을 전했다. 오늘의 한국교회는 너무 고급스럽고 휘황찬란해 웬만한 평민도 선뜻 교회라는 대형 건물로 들어서기가 쭈삣 한데 가난한 소외 계층들이 들어가 앉기에는 부자유스럽다. 더더욱 같은 생명인데 형편이 어려워 겉에 남루한 옷을 걸친 노숙자들 부랑자들에게는 그 교회가 꿈의 궁전처럼 구경만하고 들어가는 생각은 꿈에도 할 수 없을 정도다. 중세 궁전 교회는 타락만 낳았으니 방법은 나눔이다.

필운그리스도의교회/ 본지논설위원

저작권자 © 기독교한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