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중 곤 목사

법은 사람을 위해서 만들어졌다. 법이 몇 사람의 기득권자와 권력자를 위해서 악용된다면, 그것은 법의 보편적 가치를 잃어버린 것과 다르지 않다. 예수님은 “안식일이 사람을 위해서 있다”고 선언했다. 그렇다 법은 사람을 위해서 있다. 그런데 사람을 위한 법이 일부 권력자와 기득권자를 위한 법이 되어, 사람을 강제하는데 악용되고 있다. 독재국가들의 법은 소수를 위해 존재했고, 통치수단으로 이용돼 왔다. 예수님은 가난한 자와 소외된 자를 옭아매는 ‘안식일법’과 ‘정결법’에 맞섰다.

구약의 신명기법전(신명기)과 계약법전(출애급기), 성법전(레위기) 역시 가난한 사람들과 소외된 사람, 그리고 떠돌이들을 보호하고, 이들을 통해 자신의 나라, 하나님나라를 실현하기 위한 법전이었다. 오늘날 사람을 위한 법이 소수 권력자와 기득권들이 가진 것을 지키기 위해서 악용되어 왔고, 악용되고 있다. 우리는 과거 독재정권 아래서 이를 경험했다.

성서의 법정신이 오늘 한국교회와 세계교회에 살아 그대로 지키고 있느냐(?)는 것이다. 그렇지 못하다는 것이 일반적인 목소리이다. 오늘날 교회는 바리사이파의 안식일 법을 그대로 적용, 교인들을 향해 “안식일을 거룩하게 지키라”고 종용한다. 만일 안식일을 지키지 않으면, 지옥이라도 가는 것처럼 설교하고, 교육하고 있다는데 문제가 있다. 또한 정결법도 교인들에게 그대로 적용한다. 예수님은 정결법과 안식일법에 맞서 싸웠다.
법의 보편적 가치는 정의와 평등, 그리고 사랑과 인권이다. 문제는 한국교회가 법의 보편적 가치를 상실했다는 것이다. 법과 질서를 가장 많이 지키지 않는 종교단체 중 하나가 됐다. 그것은 교회의 재산이 많아지고, 기득권세력으로 자리매김을 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교회분쟁이 끈이지를 않고, 세상 법정의 문을 두드리는 일이 유행처럼 되어버렸다. 자신들이 만든 법도 부정하는 상황이며, 예수님을 제도화, 교리화 시켜 버렸다.

임시목사 청빙을 둘러싸고 당회와 교인간의 다툼, 원로목사와 담임목사의 다툼, 담임목사 세습을 둘러싸고 교인과 원로목사의 다툼, 교회내 기득권 세력끼리의 다툼, 재정비리를 둘러싸고 목사측과 교인측간의 갈등, 교단과 교회와의 다툼 등등 사랑과 화해의 공동체인 교회가 갈등과 다툼의 온상이 되고 있다. 이로인해 교회의 정체성과 본질이 뿌리 채 흔들리면서, 세상 사람들은 더 이상 교회를 찾지 않는다.

한때 한국교회는 가난하고, 소외되고, 떠돌이, 노동자들이 몰려와 교회가 크게 성장했다. 그러나 기득권자들의 눈물을 닦아주는 공동체로 변질되면서, 이들은 더 이상 교회를 찾지 않는다. 교회내 분쟁은 기득권자들끼리의 세력 및 헤게모니 싸움에 의해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싸움이 교회 법의 테두리에서 해결되지 않고 있다는데 문제가 있다. 대부분의 분쟁은 사회법정으로 끌고 가, 사회법정의 판단에 의해서 해결되고, 마무리되어 왔다.

이미 한국교회는 내부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자정능력을 잃어버렸다. 문제는 교회의 재판이 끝을 보이지 않고, 계속해서 꼬리에 꼬리를 물고 수년 동안 계속된다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크다. 오늘 한국교회의 내놓으라는 중대형교회를 보면, 오늘 한국교회의 현주소를 쉽게 알 수 있다. 이 같은 한국교회의 분열과 다툼은 선교초기부터 이미 예견된 것이었다.

영미교회의 교파주의를 그대로 받아드린 한국교회는, 내교회, 우리교회라는 집단의식과 교파주의가 뿌리 깊게 내렸다. 그래서 한국교회는 선교초기부터 지금까지 분열과 갈등의 연속이었다. 그래서 한국교회의 역사를 한마디로 분열의 역사라고 말한다. 그것은 한국교회가 예수님의 역사의 현장에, 교회를 세워야 할 곳에, 교회를 세우지 못하고, 성서의 법정신과 기독교의 가치, 그리고 본질을 상실했기 때문이 아닌가.
 
예장 합동총신 총회장•본지 논설위원
 

저작권자 © 기독교한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