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중 곤 목사
남북한 민족 모두는 전쟁을 거부한다. 전쟁은 누가 이기고, 지는 것이 아니다. 전쟁은 남북한 민족 모두가 공멸하는 것이다. 그래서 남북한 정상들이 판문점에서 만나 한반도의 비핵화와 한민족의 화해, 한반도의 평화를 위해서 노력한다는 내용의 ‘판문점선언문’을 발표했다고 본다. 그러나 한반도의 비핵화와 평화로 가는 길은 멀고도 험하다. 남북한 민족이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세계가 한국전쟁의 당사자인 북미 정상들이 싱가포르 만남에 주목한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지금까지 남북한의 화해와 통일, 그리고 한반도의 평화를 정치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민이 관여할 문제가 아니라는 주장이 집권층, 또는 교회내부에서 거세게 일어 왔다. 그리고 국민들도 그렇게 생각해 왔다. 한반도의 평화는 정치적인 측면에서 보면, 국제관계를 측정하고, 국내적으로 힘의 균형 등 역학관계를 측정하는 한편, 경제적으로 실리를 분석함으로서 비로소 내려지는 결론이다. 따라서 그러한 분석은 고도의 전문성을 요하기 때문에 교회와 민이 관여할 수 없었고, 관여하지도 않았다.

그래서 지금까지 한민족의 화해와,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은 정부주도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다. 이런 상황에서 교회나, 민이 통일문제에 관여하면, ‘국론분열’ 등을 운운하며,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운동을 철저하게 막았고, 교회 역시 관여하지 않았던 것이다. 오히려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을 말하는 목회자와 교인, 그리고 교회를 향해 비판의 목소리가 거셌다. 교회 역시 우리의 과제는 선교하는 것이기 때문에, 통일과 평화는 정치적, 경제적인 것이기 때문에, 통일과 평화의 문제, 민족화합의 문제는 교회의 일이 아니라고 여겨 왔다.

한마디로 한국교회는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 남북한 민족의 화해를 위해 기도만 해왔고, 지금도 그렇게 하고 있다. 행동하는 모습을 전혀 보여주지를 못했다. 그러면서도 한국교회는 ‘북한선교’를 슬로건으로 내걸고, 교인들로부터 북한선교헌금을 거두고 있다. 이것은 제 힘으로 한반도의 평화에 대한 의지를 전혀 보여주지를 못하는 것이며, 어떤 과정으로나 통일된 다음에 그곳에 상륙해, 선교사들이 남한에 이식시킨 영미의 교파주의를 그대로 북한에 이식시키겠다는 것을 전재로 하고 있다. 그래서 선교신학자들은 분단의 현장에 교회를 세우고, 한반도의 평화와 한민족의 화해를 노래하라고 주문하는 것이다.

오늘 한반도의 평화무드가 어렵게 조성되면서, 한반도의 평화와 한민족의 화해에 대해서 침묵으로 일관했던 한국교회가 한반도의 평화를 위해 행동하기 시작했다. 포럼을 개최하고, 남북한이산가족이 금강산에서 만나는 등 평화의 무드가 조성되고 있다, 한국교회는 이 민족사에서 떨어져 나가 자기 게토에 감금되어 한민족의 문화와 역사, 그리고 성경적 평화로부터 멀리 있었다. 사실 보수적인 한국교회는 예수님의 샬롬을 외치기보다도, 힘에 의한 팍스를 외치며, 반공주의와 승공주의에 매몰되어 있었다.

그것은 한국교회의 선교개념이 전도라는 개념과 일치시키려는 데서 오류가 발생했다는 것이다. 상대방을 설득시켜 그리스도의 공동체에 참여케 하는 것이 바로 선교의 개념으로 착각했다. 그래서 선교초기부터 한국교회는 고난당하는 민족의 역사와 유리되어 있을 수밖에 없었다. 그렇다 보니 오늘 한국교회는 통일과 평화, 민족화해의 문제는 다른 누가 할 일이고, 남북관계가 좋아지면 북한에 가서 많은 교회를 세우는 것이 한국교회가 할 일이라고 착각해 왔고, 지금도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

이를 반증이라도 하듯 북한선교를 한다는 한국교회의 선교사들은 성경책을 비닐봉투에 넣어 두만강 변에서 북한을 향해 던지고는 북한 선교의 사명을 감당했다고 말한다. 남북한의 선교는 죽음의 직전에 있는 남북한 민족이 함께 가야 한다. 하나님의 선교, 예수님의 세계화는 관념과 집단의식에 사로잡혀 있는 구조악들과 싸워 이기는 것이며, 소외된 자들의 인권회복이다. 하나님의 나라도 혼자갈 수 없다. 너와 내가, 남북한민족과 세계민족이 함께가야 한다.

/예장 합동 총신총회 총회장, 본지 논설위원

 
저작권자 © 기독교한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