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 용 화 목사

올해는 마르틴 루터가 종교개혁을 일으킨 지 501주년이 되는 해이다. 한국교회는 500년이 되는 해에, 이를 기념하기 위해서 다양한 행사를 펼쳤다. 종교개혁 500주년을 앞두고 한국교회 안에서 종교개혁의 목소리가 그 어느 해보다도 높았다. 그런데 여러 교단과 단체들이 너도 나도 계획하는 종교개혁의 참다운 정신과 의미를 살리지는 못했다. 구호에 끝나 버렸다. 때문에 종교개혁을 계속해서 진행되어야 할 미완의 종교개혁이라고 말한다.

오늘날 한국교회의 현실을 보면, 종교개혁자의 후예라는 이름이 무색할 정도다. 교회와 자본주의가 결합된 나머지 맘몬이 판을 치는 교회가 되었다. 분열과 갈등으로 점철돼 교회는 신의 자리에 맘몬으로 대치되었다. 루터를 비롯한 숱한 종교 개혁자들이 목숨을 바쳐 지켜온 무수한 가치들을 오늘 한국교회를 보면 허물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종교개혁의 정신을 왜곡해 그리스도인의 자유, 섬김의 자유를 실종시켰다.

대부분의 교회들은 여전히 사람과 사람 사이에 담을 쌓아 계급을 만들고, 경쟁적으로 교회당을 크고 웅장하게 지어 교회와 세상을 성(聖)과 속(俗)으로 구분한지 오래되었다. 교회의 문턱이 높아 세상 사람들이 교회에 들어오지 못하고, 교인들은 세상 속에 들어가지 못하고 교회당 안에 갇혀 있다. 성서는 분명하게 말한다. 위로는 무게의 중심을 하나님에게 두고, 좌우로는 이웃에 두라고 했다.

예수님은 십자가에 달려 인간과 인간 사이에 막힌 담을 허무시고 화해를 이루셨다. 그런데 오늘날 한국교회의 모습은 화해는커녕, 분열과 갈등을 일삼고 있다. 그리스도인들이 예수님을 다시 십자가에 매달고 있는 것은 아닌지 심히 우려스럽다. 오늘날 많은 대형 교회 유명 목사들이 강단에서 외치는 설교는 말씀을 빙자해 믿음에 대한 권위가 아닌 권위에 대한 믿음으로 바꿔치기해 버렸다. 이제 교인들은 하나님이냐 맘몬이냐를 선택해야 하는 기로에 서 있다.

지금까지 찬양과 영광을 받아야 할 하나님 대신 교회와 성직자들이 가로채지나 않았나 생각해 보면, 틀린 것도 아닌 것 같다. 예수님이 십자가상에서 죽임을 당함으로서, 사람과 사람 사이에 막혔던 담이 허물어지고, 화해와 평화의 시대를 열었듯이, 이제 한국교회도 예수님의 시간과 장소로 돌아가 교파주의, 개별교회주의를 청산하고, 화합과 연합을 이루어야 하지 않을까. 이것이 500년 전 루터가 권위의 담을 허물라고 외쳤던 종교개혁의 정신이 아닌가.

루터의 종교개혁 정신은 교황으로 상징되는 종교 기득권자의 독단적 행태에 순응하지 말고 저항할 것을 주장했다. 이는 누구도 신앙을 강요할 수 없다는 ‘신앙의 자유’, 교회 공의회나 사제의 권위보다 높은 ‘성서의 권위’, 성서는 성서 자체가 해석한다는 ‘성서 해석의 원리’에 기초하고 있다. 또한 한 개인이나 교회에 국한되지 않았다. 교회와 시민사회는 떼려야 뗄 수 없으며, 교회는 세상 가운데 존재하는 것이다.

오늘날의 민주주의 체제가 종교개혁 정신과 맞닿아 있다는 사실. 잘못된 것, 의혹이 있는 것, 불의와 부정, 권위주의를 향해 혼자가 아닌 같은 뜻을 품은 저항자들이 손을 잡고 가는 것이 바로 프로테스탄트의 저항 정신이다. 프로테스탄트의 저항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그래서 뜻 있는 신학자들은 예수님의 시간과 공간으로 돌아가 처절하고 고통스러운 역사의 현장에 교회를 세우라고 외친다.

그러나 오늘날 한국교회 안에서 프로테스탄트 정신을 찾아볼 수 없다. 목회자들의 입에서는 무조건 순종해야 축복을 받는다고 말한다. 불의와 부정이 권력과 결합하여 맹종해도, 침묵하면서 ‘좁은 문’을 외면하고 넓고 편한 대로를 걸어온 것이 한국교회의 본 모습이다. 그 병은 깊어만 가고 있다. 교권주의와 성직자의 권위주의, 배금주의가 주님의 몸 된 교회를 허물고 있다. 세상 사람들은 더 이상 교회를 신뢰하지 않는다.
하나님 대신 맘몬을 숭상하며, 로마평화를 외친다. 맘몬이 판치는 세상이 되었다. 이제 한국교회는 돈이 있어야 성직자로서의 수행 할 수 있다. 그것은 교회를 완결체로 하나님으로 만들어 버렸기 때문이다. 교회는 하나님나라운동의 목적이 아니다. 수단이다.

천안성문교회 담임•본지 논설위원

저작권자 © 기독교한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