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병순 목사.

3.1절을 맞았지만 애국자이며, 기독교지도자 중 한사람인 고 전덕기 목사에 대해 교인들은 잊고 살았다. 전덕기 목사는 교회의 울타리에서만 활동했던 민족의 지도자가 아니다. 민족과 함께 하나님나라운동을 실현한 참 목회자이며, 민중과 함께 그의 나라를 위해 일한 애국자이다.

1905년 11월 18일 을사조약이 공포되었다. 대한제국은 식물국가나 마찬가지였다. 을사조약이 알려지면서 사람들은 흥분해서 거리로 뛰쳐나왔다. 그들은 덕수궁 대한문 앞에 몰려들었다. 대한문 앞에 꿇어 엎드려 하늘을 향해 절규했다. 그들은 도끼를 떠메고 있었다. 대개 “역적의 목을 치든지 내 목을 치든지”라는 극단적인 뜻을 상주하는 이른바 ‘도끼 상소’였다.

그들은 대개 기독교인이었고 상동교회의 청년회원들이었다. 이들을 지도한 이는 이 교회의 전덕기 목사(당시 전도사)였다. 전덕기 목사는 어려서 고아가 되었다. 남대문 시장서 숯장수를 하던 숙부 슬하에서 자랐다. 그의 인생에 서광이 비친 것은 스크랜톤이라는 감리교 선교사의 집에 하인으로 들어가면서부터였다. 스크랜톤은 양반 동네이며, 외국인이 많은 정동에서 교회를 꾸리다가 ‘민중이 있는 곳’, 남대문 안 상동교회로 옮겨 가난한 민중들에게 다가섰다.

기독교인이었던 전 목사는 그로부터 감화를 받아 독실한 기독교인이 됐다. 새로 이전한 상동은 이른바 상놈들의 모여 사는 동네였다. 전 목사는 ‘애민구휼회’라는 단체를 만들어 극빈자들에게 삶의 기반을 만들어 주려고 노력했다. 11월 10일 일본은 군대를 동원하여 공포 분위기를 조성했다. 이 무렵 전 목사는 교회에서 구국 기도회를 개최, 나라와 민족을 위해 기도했다. 전 목사는 평안도 교인들을 규합, 을사 오적 암살을 모의하고 무장 투쟁을 도모하기도 했다.

헤이그로 파송된 이준도 상동교회에 찾아와 그 임무의 성공을 위해 함께 기도했고, 상동교회 교인들을 중심으로 신민회를 조직, 대한제국의 마지막 숨통을 끊으려는 일제에 저항했다. 훗날 3.1운동 후 조선 총독부에서 나온 보고서는 상동교회를 “조선 독립 운동의 근원”으로까지 꼽았다. 그 중심에 전 목사가 있었다. 전 목사는 경술국치 후 민족운동의 뿌리를 뽑으려는 일제에 검거되어 모진 고문을 받았다.

1914년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그는 고문 후유증과 결핵으로 고통을 당했다. 제대로 일어서지도 못하면서도 마치 바울처럼 편지를 보내는 ‘병상 목회’를 멈추지 않았다. 그는 후배 목회자들에게 목회에 필요한 세 가지 물품으로 ‘마른 쑥과 나막신, 그리고 의지(종이로 만든 약식 관)’를 들었다. 이유 하나는 연고도 없는 시대, 가난한 이가 죽으면 마른 쑥을 콧구멍에 꽂고 들어가 염해야 하기 때문이었다. 또 하나는 대개 시체 썩은 물이 방안에 그득하므로 나막신이 필요했다. 종이 관에 싸서 망자를 묻어 주었던 자신의 숱한 경험에서 나온 말이었다.

전 목사가 돌아갔을 때 서울 장안은 슬픔에 휩싸였다. 어디서 몰려들었는지 초상꾼들이 교회 안에 가득했다. 관을 잡고는 목을 놓아 울었다. 가장 슬퍼한 이들은 남대문 일대의 거지 왈짜들, 불한당 소리 듣던 이들이었다. 서울 장안의 기생들도 소복을 입었다. 갑오경장 이래 차별은 없어졌으되 여전히 사람 취급에서 벗어나 있던 백정들도 꺼이꺼이 소울음을 내며 울었다.

“우리 선생님이 죽었다. 우리 선생님이 가셨다” 상여를 따르는 사람들은 십 리를 헤아렸다고 한다. 나이 마흔도 안 된 젊은 목사의 죽음 앞에서 그토록 많은 사람들이 슬퍼한 데는 마땅히 이유가 있다. 망해 가는 나라를 구해 달라고 하나님께 기도하고, 도끼를 들고 달려 나가 “조약을 거두시든지 내 목을 치라”고 자신의 황제에게 호소하던 목사. 대한제국에서 가장 낮은 자들과 함께 하면서, 그들의 썩은 시신들을 거두는데 이력이 났지만, 동시에 산송장과 같은 매국노의 목숨을 거둘 의거를 계획하던 목사. 그의 삶을 돌이키면 사람들이 그리도 슬퍼한 이유를 찾는 일이 그리 어렵지 않다.

예장 합선 총회장
 

저작권자 © 기독교한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