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헌철 목사가 무분별하게 사용되고 있는 장례예식 용어들을 바로잡기 위한 <성안예식서>(쿰란출판사)를 출간한 가운데, <성안예식서> 출판기념 간담회가 한국장로교신학연구원에서 열렸다.

한국기독교 상례식이나 장례식 등의 예식에서 혼합종교의 용어들이 난무한 가운데, 한국장로교신학연구원 원장 서헌철 목사가 무분별하게 사용되고 있는 예식 용어들을 바로잡기 위한 <성안예식서>(쿰란출판사)를 출간해 이목을 끌고 있다.

이에 저자인 서헌철 목사는 <성안예식서> 출판기념 간담회를 지난 9일 오전 한국장로교신학연구원 예배당에서 갖고, “상례식, 장례식 등의 혼합종교 용례를 이제는 바꾸자”고 호소했다.

문용성 장로의 사회로 진행된 이날 간담회는 예장 호헌총회장 도용호 목사를 비롯해 송파기독교연합회 대표회장 유병서 목사, 대한예수교장로회 교단협의회 대표회장 장성화 목사, 성경신학대학원대학교 장석조 교수 등 <성안예식서>의 출판을 기념하기 위한 발걸음이 원근각처에서 이어졌다.

간담회는 문용성 장로의 개회기도로 시작되어 ‘보아라 즐거운 우리집’ 찬송, 유병서 목사와 도용호 목사의 축사, 내빈소개, 저자 인사말 순서로 진행됐다.

▲ 축사를 전하고 있는 송파구기독교연합회 대표회장 유병서 목사.

유병서 목사는 “작금의 한국기독교 장례예식에서 혼합종교적 용어들이 무분별하게 쓰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를 복음적 용어로 바꾸려는 시도를 하지 않았다. 이런 가운데 서헌철 목사의 <성안예식서>는 그동안 무심코 썼던 용어들을 성경에 근거하는 복음적 용어로 바꾸어 누구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했다”고 말했다.

▲ 축사를 전하고 있는 예장호헌 총회장 도용호 목사.

도용호 목사는 “학생들 뿐 아니라 목회자들에게 좋은 지침서가 될 것이다. 예장호헌 총회뿐 아니라 전 신학교, 전 목회자들이 익혀야 될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아주 귀한 책으로 하나님이 우리에게 주신 귀한 선물이라고 본다. 하나님께서 서헌철 학장님을 통해서 우리에게 주신 위대한 유산이라고 본다”고 평했다.

또한 저자인 서헌철 목사가 인사말을 통해 책을 출간하기까지 무려 20여년의 시간이 걸렸음을 알렸다.

▲ 저자 인사말을 전하고 있는 서헌철 목사.

서 목사는 “화환을 보낼 때도, 위로금을 전달할 때도, 봉투 같은 것을 쓸 때에 총회 예식서를 그대로 따랐지만, 장례를 집례하고 위로하는 것이 무엇인가 맞지 않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개인적으로 조금씩 변화를 줬다. 그렇게 20년 전부터 위로화환을 보낼 때에 ‘삼가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대신에 ‘부활소망신위’ 혹은 ‘부활신위’, ‘부활소망’을 적어서 보냈다”고 회상했다.

그러면서 “조직신학의 거두조차 ‘소천’이라는 말을 썼다. 대부분 목회자들도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를 쓰거나 그것을 피하기 위해 ‘근조’, 혹은 생각이 있는 사람들은 ‘부활’이라고 쓴다. 이런 것들을 돌아볼 때 장례용어만은 기독교의 생명력을 불어넣어야겠다고 생각에서 책을 출판하게 됐다”고 출판 동기를 밝혔다.

▲ 내빈소개에 나선 김명희 목사.

이어 저자와의 간담회 시간에는 우리나라에서 관습처럼 행해지고 있는 유교적 장례절차와 관련한 영상을 시청하고, 왜 복음적 용어로 바꾸어야 하는지 일목요연하게 설명했다.

서 목사는 먼저 일반적 장례 의식에서 ‘망자’라는 말을 사용하는 것과 관련 “유교의식에서 ‘망자’는 어떠한 의미를 부여해도 이미 죽었다는 것”이라며, “하지만 기독교는 다르다. 이 땅에서 예수님을 믿는 사람은 이미 이 세상에서 영생을 소유했다고 이야기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유교적 장례의식에서는 죽은 자를 자연으로 돌려보내는 절차를 밟는다. 산자와 죽은 자의 사실상 영원한 이별인 셈이다. ‘발인’이라는 것도 영원히 떠나는 이별하는 것”이라며, “이런 모든 제반 용어들이 성경과는 전혀 다른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 저자 서헌철 목사는 간담회를 통해 책을 출판하게 된 동기와 함께, 한국 기독교 장례 예식에서 복음적 용어를 사용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서 목사는 또 ‘이 분은 이제 죽었습니다’라는 말을 쉽게 사용하는 것과 관련해서도 “어떻게 하나님의 은총으로 살다가 거룩하고 영원한 하나님의 나라에 들어가신 분을 ‘죽음’이라는 단어를 사용해 ‘영원히 관계할 수도 없고 만날 수 없다’고 선언하는 것인지 모르겠다. 문제는 이러한 것이 아무런 의심 없이 기독교에서도 널리 통용되는 것”이라며, “이런 하나하나의 용어부터 재정리하지 않으면, 기독교는 영원히 유교의 장례의식의 틀 속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이라고 성토했다.

덧붙여 “우리가 이 세상에서 숨을 거두는 그날, 우리의 몸을 주님 오시는 그날까지 잘 모셔두는 절차가 성안예식 절차”라면서, “부족하더라도 이해해주고 잘 봐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 저자와의 간담회에서 이 책이 적극 활용됐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밝히는 예장 교단협의회 대표회장 장성화 목사.

이에 장성화 목사는 “장례식에서 집례 하는 목사님이 제대로 복음을 전하면 놀라운 역사가 일어날 것”이라며, “많은 목사님들이 이 책을 적극 활용했으면 좋겠다. 그것이 바로 하나님께 영광을 올려 드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서 목사는 <성안예식서>가 전 세계 어디에서도 널리 활용될 수 있도록 영문판으로도 출판할 계획 중에 있다.  

▲ 이날 간담회에는 원근각처에서 출판을 축하하기 위한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저작권자 © 기독교한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