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고 현 목사

 유교의 시조로서 중국 최초의 민간 사상가이자 교육자였던 공자는 "이로운 친구는 직언을 꺼리지 않고 언행에 거짓이 없으며, 지식을 앞세우지 않는 벗이니라. 해로운 친구는 허식이 많고 속이 비었으며 외모치레만 하고 마음이 컴컴하며, 말이 많은 자이니라“고 했다.

구한말 흥선대원군 이하응(李昰應.1820~1898)이 수명을 다한 이씨 왕족의 신분으로 방탕한 생활을 하고 다닐 때의 일이다. 하루는 그가 한양에서 꽤나 유명한 기방(妓房)에서 술을 마시며 온갖 추태를 부리고 있었다. 그런데 우연히 옆 자리에 앉아 있던 금군별장 이장렴과 언쟁을 벌이게 되었다.

당시 금군별장은 지금의 청와대 경비단장에 해당하는 직책으로 당시에는 꽤나 높은 군직이었다. 이하응은 비록 왕족이라고는 하나 별 볼일 없는 시정잡배들과 어울려 술이나 마시는 건달이나 다름없었기에 이장렴은 매우 거친 말로 이하응의 체면을 깎아내렸다. 그러자 화가 머리끝까지 치민 이하응은 분통을 터뜨리며 이장렴을 향하여 고함을 질렀다.

“일개 미천한 군직에 있는 자가 감히 종친에게 이처럼 무례하게 대할 수 있느냐?”

그러나 이장렴은 눈도 꿈쩍하지 않고 도리어 이하응에게 “한 나라의 종친이면 체통을 지켜야지 기방이나 드나들면서, 왕실을 더럽혀서야 되겠소?”라고 호통을 치더니 그것도 모자라 이하응의 뺨을 힘껏 후려쳤다. 예상치 못한 이장렴의 행동에 크게 당황한 이하응은 슬그머니 자리를 피해 도망치고 말았다.

그 후 몇 년이 지나 이하응의 둘째 아들 명복이 열두 살의 어린 나이로 왕위에 오르자 이하응은 흥선대원군에 봉해졌고 지난날 이장렴에게 겪었던 수모를 잊을 수 없었던 대원군은 자신이 살고 있던 운현궁(雲峴宮)으로 그를 불러들였다. 그리고 운현궁에 들어선 이장렴에게 다짜고짜 물었다.

“자네는 이 자리에서도 나의 뺨을 때릴 수 있겠느냐?”

이하응이 대원군이 되기 전에 과거 이하응의 뺨을 때렸던 이장렴에게는 불편한 자리가 아닐 수 없었다. 하지만 그는 당당하게 대답했다.

“지금이라도 대원군께서 그때 그 자리에서 했던 언행을 하신다면 제 손이 가만히 있지는 않을 것입니다.”
이장렴의 대답을 들은 대원군은 범상치 않은 그의 기개에 호탕하게 웃었고, 그가 물러갈 때 문 밖까지 나와 직접 배웅하여 이렇게 소리쳤다. "금위대장(禁衛大將)이 나가시니 물렀거라!” 이날로 이장렴은 금위대장, 즉 지금의 수도방위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상대방이 어떤 자리에 있든지 상관하지 않고 자신의 소신을 지켜 행동했던 이장렴과 그의 비범함을 알아차리고 고위직으로 발탁했던 흥선대원군. 이들을 보면서 계급에 따른 위계질서가 확고한 군에서 혹시 자리와 직책에 위축되어 상관에 대한 정당한 직언을 회피하거나 꺼렸던 경험은 없는지, 또는 후임자의 건설적인 의견에 불쾌해하거나 무시했던 적은 없는지 되돌아보게 된다.

한장총 총무•본지 논설위원

저작권자 © 기독교한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