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근열 목사.

만물이 풍성한 계절이다. 하나님의 은혜와 축복 속에 1년을 노력해온 결실을 수확하는 뜻 깊은 순간이다. 저마다 교회에서도 하나님께서 주신 수확물에 대해 감사를 더하는 추수감사절 준비에 한창이다.

그런데 작금의 추수감사절은 뭔가 모양새가 좋지 못하다. 한 마디로 추수감사절의 의미가 퇴색되고 있다. 수확의 기쁨을 함께 누렸던 본질은 온데간데없고, 형식적인 의미의 추수감사절만 덩그러니 남았다. 좀 더 치부를 드러내자면, 추수감사절이 하나님을 향한 감사가 아닌, 교회를 향한, 목회자를 향한 감사의 절기로 변질되어 버렸다. 그래서 하나님께 드리는 것이 아닌, 교회의 세를 부풀리기 위한 재물을 쌓는 데 혈안이 되어 있다.

안타까운 것은 도시교회의 모판이나 마찬가지인 농촌교회마저 이 흐름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대적으로 도시교회보다 경제적인 어려움에 처할 수밖에 없는 농촌교회의 한계일수도 있다. 하지만 농촌교회의 경제적 어려움을 탓하기 전에 더 큰 문제는 도시교회가 이 땅의 참교회인 농촌교회를 향한 나눔과 섬김의 사역을 소홀했기 때문이다. 날로 성장해왔던 도시교회의 모습이 자신들이 잘해서 이룬 업적이라고 착각해 벌어진 일이다.

분명한 것은 농촌교회나 어촌교회, 산촌교회들이 든든히 뿌리를 내리고 있기에 도시의 교회들이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을 잊어서는 안된다. ‘개구리 올챙이적 생각 못한다’는 말처럼, 도시교회가 농촌교회를 등한 시 해서는 안된다. 실제로 산업화 시대를 맞아 농촌에서 이주해온 기독교인들로 인해 도시교회들은 급성장했다. 오늘 도심의 하늘을 찌를 듯한 예배당의 위용은 어찌 보면 그들의 땀기 어린 헌금과 기도 덕분일지 모른다. 반대로 도시교회로 교인들을 모두 내어준 농촌교회는 규모면에서도 작아질 수밖에 없었고, 처절한 고난의 행군을 거듭해야만 했다. 그럼에도 모두 하나님이 부르신 소명이라 생각하고, 묵묵히 걷고 또 걸었다.

그렇지만 누구 하나 이름도 빛도 없는 이들을 향해 손을 내미는 이가 없었다. 오히려 남아있는 교인들마저 소위 말하는 순환버스에 태워서 도시교회로 데리고 오려는 노력을 할뿐이다. 이는 가진 자의 횡포나 마찬가지다. 겉포장만 전도일 뿐, 칼만 안 들었지 강도나 다름없다. 이래서는 한국교회의 미래가 밝지 않다.

그런 의미에서 미래목회포럼이 해마다 추진하고 있는 ‘고향교회 가서 예배드리기’ 캠페인은 농촌교회를 살리는 나비의 작은 날개 짓일 수 있다. 비록 명절에 국한되기는 했지만, 그 노력은 분명 농촌교회에 큰 힘이 된다. 거창하지는 않지만 그 작은 바람이 일어 고난과 역경을 딛고 일어서 한국교회의 모판인 농촌교회를 살리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 농촌교회가 살아야 도시교회가 살고, 더 나아가 하나님 나라 확장이 이뤄진다. 든든한 뿌리로 선 나무는 어떠한 바람에도 쉽게 흔들리지 않는다. 그러나 뿌리가 썩은 나무는 작은 바람에도 휘청거리며 뽑히고 만다. 때문에 뿌리를 튼튼하게 만들기 위한 작업이 절실한 것이다.

올해 추수감사절은 단지 절기로서의 의미뿐 아니라, 한국교회가 든든히 서가는 단초를 놓는 절기가 되길 소원한다. 특히 성장만을 위한, 재정을 부풀리기 위한 세속적인 추수감사절이 되지 않도록 노력하고, 나아가 농촌교회, 산촌교회, 어촌교회가 동반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길 기대한다. 무엇보다 한국교회가 부자들의 눈물을 닦아주기 보다는, 이 땅의 소외된 이웃들과 골방과도 같은 작은 예배당에서 오직 하나님만을 부르짖으며 하나님 나라 확장을 위해 헌신하고 있는 모든 작은교회 목회자들을 살리는 일에 앞장서길 바란다.

군남반석교회 담임 

저작권자 © 기독교한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