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 성 길 목사

 조선 시대의 문인 소세양(蘇世讓)은 ‘송설체(宋雪體)’의 대가였고, 문장에도 뛰어난 사람이었다. 그런 그가 황진이에 관한 이야기를 풍문으로 듣고 인편을 통해 황진이에게 편지를 보냈다. 그런데 편지에는 딱 한 글자 ‘석류나무 유(榴)’ 자가 적혀 있었다. 편지를 받은 황진이도 딱 한 글자짜리 답장을 써서 그에게 보냈다. ‘고기 잡을 어(漁)’이다.

소세양이 보낸 글자, ‘유(榴)’는 “석유나무유(碩儒那無遊)”를 줄인 것으로, “큰선비가 여기 있는데, 어찌 놀지 않겠는가?”라는 뜻이었다. 황진이의 답장 ‘어(漁)’는 고기자불어(高妓自不語)“를 줄인 말로 ”높은 기생은 스스로 말하지 않는다“라는 의미였다. 다시 말해서, ”나는 먼저 안 움직인다. 당신이 오든 말든 하시라“는 뜻이다. 그렇게 첫 만남을 시작한 그들은 꿈같은 한 달을 보낸 후 이별을 한다. 그때 황진이는 누각에 올라 이별주를 나누며 시 한 수를 지었다.

“달빛 아래 오동잎 모두 지고/서리 맞은 들국화는 노랗게 피었구나/누각은 높아 하늘에 닿고 /오가는 술잔은 취하여도 끝이 없네/흐르는 물은 거문고와 같이 차고/매화는 피리에 서려 향기로워라/내일 아침 임 보내고 나면/사무치는 정 물결처럼 끝이 없으리”

이 시를 들은 소세양도 곧바로 시 한 수를 지어 황진이에게 바친다.

“달빛 아래 소나무만이 푸르고 /눈에 덮인 한 포기 꽃들은 고개를 떨구었구나/강물은 하늘과 맞닿아 슬픈 줄을 모르고/쌓여가는 술은 그저 강물에 흘러갈 뿐/흐르는 강물은 나의 마음을 실어 보내 주지 않고/저 멀리 절벽에서 살아남은 한 포기 꽃은/아름다운 낙화를 보여주는구나/내일 아침 그녀를 보내고 난다면/슬픔은 비가 되어 나의 몸을 짓누르리”

소세양과 황진이는 이별 후에도 오랫동안 편지를 주고받았는데 황진이가 아랫사람을 시켜 한양에 있는 소세양에게 전했다는 7언 율시는 지금까지 남아 전해지고 있다.

“소슬한 달밤에 그대 무슨 생각 하시나요?/뒤척이는 잠자리는 꿈인 듯 생시인 듯/임이시여, 제가 드린 말들도 기억하시나요/이승에서 맺은 연분 믿어도 좋을지요/멀리 계신 그대 생각, 해도 해도 모자란 듯/하루에도 얼마큼, 이 몸 생각을 하시나요/바쁜 중에도 나를 생각하면 괴로울까, 즐거울까요/참새처럼 지저귀었던 저에게 향했던 정은 여전 하신지요”

아, 그 시절 황진이는 먹을 갈아 글을 쓰고 그렇게 쓴 편지를 곱게 말려 접은 뒤, 가장 믿을 만한 사람 편에 보냈을 것이다. 어쩌면 황진이는 이 시 한 장을 써 보내기 위해 한나절, 아니 몇 날 며칠 동안 ‘그’만 생각하며, 보냈을지도 모른다. 단번에 쓰이지 않아 몇 장이고 쓰고 또 썼을지도 모른다. 당시 성에 차지 않을 때마다 ‘Delete’ 키를 눌려 부분 수정할 수도 없었을 테고, ‘복사’와 ‘붙이기’를 번갈아 하며 짜깁기를 하는 것도 불가능했을 것이다.

세상은 바뀌어도 생활은 나날이 편해지고 있지만, 번거로워서 더 좋은 일들이 분명 있었다. 그대에게 이르는 길, 내 정성을 다 모아 그대에게 보여주는 일이라면, 번거로울수록 더 반가웠을 것이다. 쉽지 않은 과정을 기꺼이 견뎌내면서, 내 마음을 더 견고해지고 성실해질 것이다.

새세움교회

저작권자 © 기독교한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