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 종 문 목사

 지난 7일 연합뉴스는 아사히신문에 보도된 <조선인 태평양전쟁 전범 외면은 일본 국민의 책임>이라는 반성의 글을 실었다. 아사히신문은 사설 ‘일본의 정의를 묻고 또 묻는다’에서 조선인 태평양전쟁 B‧C급 전범중 마지막 생존자인 김학래 옹의 별세소식을 전했다. 그러면서 “살아 있는 동안에 구제는 끝내 이뤄지지 않았다”고 실종된 일본정부의 양심과 정의를 비판했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김학래 옹은 1942년 17세의 나이로 징집돼 일본군 군속(군무원)으로 동남아시아의 철도건설 현장에서 노역하는 연합군 포로를 감시하는 일을 맡았다. 상관의 명령이 절대적으로 순종했다. 제네바협약이 규정한 포로 취급의 존재에 대해서 누구도 알려주지 않았기 때문에 몰랐다. “건설 현장에는 의료물자가 턱없이 부족해 포로 중 환자가 발생해도, 대응할 수 없는 열악한 환경이었다”고 고인은 생전에 밝힌 바 있다고 보도했다.

당시 많은 연합군 포로가 사망했다. 전쟁이 끝난 뒤 고인은 포로 학대 혐의로 전범 재판에서 사형 선고를 받았다. 이후 감형돼 1956년에 석방됐다. 김 옹은 출소 후 고향인 전라남도로 돌아가려고 했다. 하지만 “조선인 전범은 친일파로 낙인찍혀 마을에서 따돌림을 당한다”는 소식에 귀국을 포기했다. 한마디로 김 옹은 고향과 고국에서도, 자신이 충성했던 일본에서도 버림을 받았다.

아사히신문은 "전범이 된 사람들(조선인)을 괴롭힌 것은 고국의 차가운 시선이었다"면서, "귀국해도 대일 협력자라며 주위에서 받아주지 않아 (귀국 후)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람도 있었다"고 전했다. 그렇다고 일본에 남은 조선인 전범이 일본 정부로부터 사람대접을 받은 것도 아니다. 일본정부도 조선인 전범들을 외면했다. 이들은 죽음을 맞이할 때까지 조국 대한민국이나, 일본정부로부터 환영받지 못했다.

이들은 태평양전쟁이 끝난 이후 고향으로 가고 싶어도, 친일파로 나인 찍혀 갈수 없었다. 반일감정이 최고조에 이른 조국, 고향이 그를 따뜻하게 맞아 줄 이가 없었다. 분명 이들은 전범국가인 일본의 희생양이었다. 죽음을 맞이할 때까지 일본정부부터 구제를 받지 못했다. 일본인 전범과 유족들이 일본 정부로부터 받은 연금과 위자료 등의 보상을 전혀 받지 못했다. 1952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발효로 일본 국적을 상실한 조선인 전범은 보상 대상에서 철저하게 제외됐다.

김 옹은 일본에 남은 다른 조선인 전범 생존자들과 함께 ‘동진회’를 결성해, 60년 이상 일본 정부에 보상을 요구했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이들의 끈질긴 요구를 끝내 수용하지 않았다. 피도, 눈물도 없는 일본정부에 아사이 신문은 일본의 양심을 묻고 또 물은 것이다. 대한민국 국민은 양심을 잃어버린 친일적인 학자와 정치인, 종교인을 제외하고, 더 이상 일본정부에 대해서 어떠한 기대도, 소망도 갖지 않는다.

대한민국 국민는 역사왜곡과 경제침탈, 군국주의 부활을 획책하는 일본정부를 향해 양심을 물을 가치도 없다는 생각이다. 이미 일본은 경제적, 정치적, 문화적, 교육적으로 후진국의 길에 들어섰다. 역사를 왜곡하고, 이웃나라를 버린 일본은 이미 국제사회에서 경쟁력을 잃어버렸다. 그래서 아사히신문은 "이 나라의 정의와 양심은 무엇인가"를 물으며, 일본의 정의를 묻고 또 물었다.

예장 통합피어선 증경총회장

저작권자 © 기독교한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