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재성 교수
좋은 교회론 교과서를 추천해 달라는 부탁을 들을 때마다, 나는 속으로 고민할 때가 많았다, 오랫동안 교회 론을 강의해 오고 있지만, 옛날에 나온 교회론 교재로서는 만족할 수 없을 만큼 참으로 난감하게 되었구나 반성을 깊이 하고 있다. 이제 완전히 세계 교회의 상황과 구성요소들과 현장이 완전히 바뀌고 말았다. 유럽의 개신교 교회가 지켜온 전통적인 교회관은 세속화와 극단적인 해체주의를 부추기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대에 참담하게 무너지고 말았다. 로마 가톨릭과 정교회 등도 예외가 아니다. 오직 우리 한국교회만이 어느 사이에 세계 교회의 예외적인 나라가 되었다. 그러나 한국교회도 적어도 통계상으로는 지난 10년 동안에 선교사 파송숫자를 제외하고는 정체 내지 퇴보하고 있다.1)1) (사) 한국세계 선교협의회, 「선교한국」 (KMQ) 2013년 봄호, 101-112.

16세기 유럽에서 시작된 교회개혁의 시대에는 참된 교회와 거짓 교회를 나누는 3대 표지, 말씀의 선포, 성례의 합당한 시행, 권징의 실시만으로도 성경적인 가르침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었다. 거짓 교회에 대한 분별이 가능했었다. 그러나 현대교회의 이단들은 훨씬 더 교묘하고 영약해서 도저히 옛날의 기준으로는 판별이 불가능해졌다. 혼탁한 교회의 모습들이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어서 성경의 가르침을 따르는 교회론을 제시하여도 그저 전통적인 사상에 붙잡혀 있다고 하면서 별로 관심이 없다.

1. 무너지는 유럽 교회들

21세기 현대 교회는 엄청나게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유럽 개신교 교회의 형편과 교세, 영향력과 역할을 놓고서 평가를 하자면, 무너져 내려서 아무도 찾아오지 않은 퇴락한 산골 마을의 시골집과 같다고 말할 수 있다. 교회의 존재가치가 상실되어 버리고, 과거에는 명성을 자랑하던 유명한 신학대학원에는 지원자들의 발길이 거의 끊어지고 말았으니, 천지개벽이 일어날 정도이다. 어째서 이런 극심한 변화가 일어나고 말았는가?
첫째로, 21세기 현대 교회 론에서 주목해야할 사실은 더 이상 서구 교회가 주류가 아니라는 현실이다. 앞으로 몇 년 후에 2017년이면, 루터가 95개 조문을 내 걸었던 해로부터 5백주년을 맞이하게 된다. 그러나 서구 유럽 교회의 영향은 거의 미미하게 사라져가고 있다. 로마 가톨릭은 성례를 집례 할 성직자들이 모자라서 아프리카와 아시아에서 빌려가고 있다. 독일 루터 파 교회, 영국 성공회, 화란 개혁교회 등 과거에는 국가교회로 전 국민들이 추앙하던 신앙의 요람이었는데, 지금은 완전히 궤멸상태에 도달했다. 불과 20년전 만 해도, 상상치도 못했던 놀라운 변화가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다.2)2) Neil Cole, Church 3.0: Upgrades for the Future of the Church (Jossey-Bass, Inc Press, 2010). Bobby Jamieson, Built upon the Rock: The Church (Crossway/Good News Publishers; 2012). Mark Dever, The Church: The Gospel Made Visible (Broadman and Holman Publishers; 2012).



지난 2013년 5월 6일, 총신대학교에서 개최된 세계 개혁교회 대회에 세계 여러 나라에서 많은 학자들이 참여했다. 세계 칼빈 학회에서 만나 필자와 함께 많은 대화를 나누었고, 이번에도 한국에서 논문을 발표한 네델란드 아펠도른 개혁신학대학 총장인 셀더 하위스 박사는 앞으로 10년 안에 네델란드 개혁교회 2천개 이상이 문을 닫을 것이라고 탄식하였다. 서구교회가 무너지고 있는 상황에서 더 이상 서구 신학자들이 세운 교회론은 근거가 없다는 철저한 반성이 나올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지금은 남미 교회들과 아시아교회들 특히 한국과 중국교회가 크게 사회적 변혁을 주도하면서 영향을 미치고 있고, 여러 선교적인 역량을 발휘하고 신학자들 모임에서조차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둘째로, 한국에서도 기존의 개신교 대형교회들과 그런 교회의 지도자들이 각종 언론과 중요한 매체들로부터 따가운 비판과 집중적인 비난을 받으면서, 신비로운 권위와 영역이 무너지고 말았다. 수많은 기독교계의 지도자들과 대형교회의 목회자들이 범법자요 탈법행위를 자행하여 일반 법정에서 재판을 받고 말았다. 교회의 지도자들로서도 부적격한 행동을 한 것만이 아니라, 이제는 일반 법정에서도 범죄자들이 되었다. 더 이상 대형교회 지도자들의 위상이나 권위가 존경을 받을 수 없게 되었다. 대형교회가 이상향으로 제시되던 양적인 확장위주의 교회성장학은 무너지고 말았다. 교회성장학을 외치던 자들은 지금 어디에서 무엇을 하고 있는가?
21세기 현대 교회론은 급변하는 정황에 비춰서 완전히 다시 재정리 되어야할 심각한 위기에 처하고 말았다. 도저히 서양교회에서 만들어진 교회론 교과서대로 움직이기에 불가능한 상태가 되고 말았다.

2. 교회의 정체성과 에큐메니즘 운동

20세기에 유럽 교회를 지배했던 주도적인 신학은 교회일치, 교회의 평화를 조화롭게 한다는 소위 에큐메니즘 (교회 연합운동) 이었다. 하지만, 에큐메니즘은 과연 교회의 본질과 정체성 회복에 기여했던가? 어느 시대에든지 운동이라는 것은 그저 신학적인 구호에만 그치고 만다. 교회가 다시 본질적인 제모습을 회복해서 영적인 감화와 영향력을 미치는 영적인 권위를 세우는데 있어서 일치운동은 아무런 긍정적인 역할을 하지 못했다. 과연 어느 나라 어느 교단에서 합동이 이루어졌고 연합했는가? 그래서 교회의 권위와 영향력을 확대했던가? 도리어 연합을 추구하다가, 더 큰 분열과 대립을 가져왔다. 그 어느 유럽교회도 평화롭게 연합하거나 교단합동을 이루지 못하고 말았다. W.C.C. 연합운동은 범교단, 초교파주의를 내세우고 있지만, 기독교가 현실 세속적인 정치 문제에 지나치게 개입하므로서 종교의 권력화로 치닫고 말았다. 말씀과 기도를 통해서 변혁을 주는 기독교의 독특성과 예수 그리스도의 유일성을 지켜내지 못하고 신학적인 혼란과 혼합에 열중하고 말았다. 현대교회가 무너지게 된 가장 중요한 배경에는 신학적인 혼합주의가 원인이 될 수 있다.
나는 성경적인 교회 일치운동을 반대할 생각이 전혀 없다. 에베소서 4장 1-3절에 “평안의 매는 줄로 하나되게 하신 것을 힘써 지키라”고 하셨다. 예수님의 대제사장적인 기도문에서는 “저희도 하나가 되게 하려 함이니” (요17:20-23). 교회는 원래 예수 그리스도를 머리로 하는 몸이요, 지체이다. (엡 1:22-23).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차별이 없는 보편적인 교회가 되어야 한다 (벧전 2:9). 따라서, 분열된 한국교회들이 어서 속히 신앙고백을 중심으로 하나가 되는 노력을 해야만 한다.
교회의 영적인 일치를 참된 마음으로 추구해야 한다. 고린도전서 12장13절에서, 예수 그리스도에게 속한 참된 교회는 하나의 교회라고 하였다. 건전한 복음적인 교회들끼리 상호인정하고 서로 친교를 나누어야만 한다. 기독교 개신교 교단 상호간에 서로에 대한 선의와 존중과 사랑이 표현되어야 한다. 특히 협의회적인 일치에서는 교리나 본질적인 손상이 없다면, 그리스도인들은 힘을 합하여야 한다. 문제는 조직이나 단체에서 진리를 놓고 설득하고, 사랑의 정신으로 바로잡아주되, 지나치게 급한 외형적 일치를 추구하는 것은 삼가야한다. 분열과 분리에는 야심과 성격의 갈등이 항상 존재한다. 지금도 한국교회 내에서 교단간의 일치와 연합운동이 크게 혼란을 빚고 있다. 교회 단체라는 정신을 잃어버리고 세속적인 권세자들처럼 행동하는 연합기관이 성행하는 한, 교회의 진정한 연합은 불가능하다.

3. 거시적 교회론의 재설정

130년의 역사를 갖고 있는 한국교회는 어떠한가? 초기 선교사들이 남기고간 신앙의 전통과 유산은 엄청난 축복이었고, 한국교회의 초석이 되었다.3)3) 김재성, “한국의 개혁신학, 그 근원과 초기정착” 세계개혁교회 대회, 2013년 5월 6일, 총신대학교, 186-219.
지금은 일부에서만 지키고 있을 뿐, 한국교회의 정체성 위기에 직면하고 말았다. 상업주의적인 개교회주의에 빠져버린지 오래된 한국교회는 개인적인 기업화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오랫동안 개척 목회자의 개인적인 헌신과 노력과 수고를 근간으로 해서 성도들을 모으고, 제자훈련과 기도집회 등을 통해서 복음을 체득하는데 힘써 왔다. 그러는 동안에 교회가 너무나 개인화, 혹은 사유화 되는 현상을 빚어냈다.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몸이요, 지체요, 더 나아가 하나님의 나라에 속한 공적인 기관이다.
서양교회가 지나치게 공공성을 강조하다가 무너져 내렸다면, 한국교회는 너무나 목회자 중심의 개별성과 개인적인 특성에 의존하다가 객관성을 상실하는 경우가 많다. 이제 반성해야할 점은 교회와 하나님의 나라와의 긴밀성이다.
마태복음 16장 18-19절을 근거로 하여, 프린스턴 신학대학원 성경신학 교수였던 보스 박사 ( Geerhardus Vos)가 일찍이 교회와 하나님의 나라와의 관계성을 강조하였다.4)4) G. Vos, The Kingdom of God and the Church (Phillipsburg, NJ: Presbyterian and Reformed, 1972), 10-11.
교회만을 고집해서는 안되고, 하나님의 나라에서 보는 가장 중요한 성경적인 안목으로 교회의 역할과 위치를 연계시켜야만 한다는 것이다. 보스 교수는 “천국의 열쇠를 받았으니, 교회가 반석위에 지어진 집이며, 열쇠를 받았으니 하나님의 나라와 동의어라는 사실을 추론할 수 있다”고 강조하였다. 한국교회는 속히 하나님의 나라에서 보는 안목으로 교회를 세우고 지켜 나가야한다. 하나님의 나라가 교회를 통해서 구현된다. 하나님의 나라의 도구가 교회다. 교회는 하나님의 나라의 관리자이다. 교회는 하나님의 나라의 증거를 책임진 기관이다. 다른 해석도 나왔다.

4. 교회의 정체성 회복: 복음 선포

21세기 교회론은 복음선포라는 교회의 중심사역을 살려내는데 있다. 나는 교회사역의 중심은 복음전도와 선포에 있다고 확신한다.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를 증거하고 전파하는 복음을 들려주어야 한다. 예수님은 마가복음 1:14-15에서, “요한이 잡힌 후 예수께서 갈릴리에 오셔서 하나님의 복음을 전파하여 가라사대 때가 찼고 하나님의 나라가 가까웠으니 회개하고, 복음을 믿으라 하시더라“ 고 증거하였다. 그리고 예수님의 공생애는 가버나움 회당에 들러서 이사야 61:1-2을 읽으시고, 복음을 전파하였다. 누가복음 4장 18-19절에, “가난한 자에게 복음을 전하게 하시고자 오셨음을 강조하였다. 물론 돈이 없어서 가난한 사람이라는 의미도 포함되지만, 사실은 심령이 가난한 자들에게 주시고자 하신 것이 복음이다. 누가복음 4장22절에서는, 가난한 자에게 복음이 전파된다고 하셨다. 마태복음 9장 35절에서도, 천국 복음을 전파하시며 사역을 계속하였다고 기록되었다.
복음이란 히브리어 “바사르”인데, “좋은 소식을 전한다”는 뜻이다 (왕상 1:42, 삼하 4:10). 때로운 전쟁의 패배를 전달하는 것도 포함되며, 하나님의 심판을 전파하는 것도 복음이 되었다. 신약성경에서 헬라어, “유앙겔리온”이 사용되었는데, 언제나 좋은 소식, 승리의 소식 의미하는 전문적인 용어이다.
예수님은 복음을 선포하는자이며, 동시에 복음을 구성하는 자이기도 하다. 예수님의 말과 행동 속에 복음으로서 현존하는 하나님의 나라가 들어있다. 예수님의 도래와 관련된 구원의 메시지가 복음이다. 그리스도의 인격에 담겨있는 것이 복음의 내용이다.
사도 바울은 복음에 대해서 분명하게 선포했다. 로마서 1장 3-4절에서, “주 예수 그리스도,아들에 관한 복음”이라고 했고, 디모데 후서 2장 8절에서는, “나의 복음과 같이 다윗의 씨로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으신 예수를 그리스도를 기억하라” 고 촉구하였다. 이 복음은 모든 믿는 자에게 구원을 주시는 하나님의 능력이 된다. 그러나 “하나님을 모르는 자들과 우리 주 예수의 복음을 복종치 않는 자들에게 형벌을 주신다” (살후 1:8). 복음 전파의 범위와 대상은 모든 족속과 모든 열방이다. 지리적 제한이란 없다 (마 28:19).
교회는 단순히 도덕적으로 선하고 착하게 살아가도록 선도하는 기능만으로는 만족할 수 없다. 지역사회와 유대를 맺어야 하지만, 교회가 향우회나 동창회나 자선단체나 비영리 정부기관과 같은 역할을 주된 임무로 할 수는 없는 것이다.


4. 교회의 정체성과 예수 그리스도

예수 그리스도는 교회의 머리다. 21세기 서구 교회의 몰락은 복음의 본질에서 벗어난 교회사역들과 신학의 이탈에서 초래되었다. 서구 사회의 세속화 물결에 휩쓸리고 있는 문화적 변화와 정보화 시대의 인식전환, 극도의 개인주의 사회가 빚은 종교경시 사상, 포스트모더니즘의 해체주의가 작용하고 있다.
교회는 세상의 지혜를 선포하거나, 세상 사람들의 모임으로 전락해서는 안된다. 교회는 차원을 달리하여 위로부터 성령의 역사를 통해서 내려주시는 신령한 만나를 공급하는 기관이다. 교회의 존재를 결정짓는 것은 복음의 선포이다. 예수 그리스도가 하나님의 지혜로서 인간에게 주신 유일한 진리임을 증거하는 것이다. 말씀은 사람의 지혜가 아니다. 하나님의 성령으로 감동을 받아서 주신 것이다.
하나님을 보여주신 분은 오직 예수 그리스도이며, 하늘로부터 오신 “본체의 형상”이시고, “진리”이다 (히 1:3). 예수 그리스도의 유일성과 독특성을 훼손한다면 기독교가 아니다.5)5) 김재성, 「기독교신학, 어떻게 세워야 하나」 (합동신학대학원 출판부, 2004), 7장, “한국 장로교회의 신학적 정체성과 과제 (1)”, 191-236.
예수님에 대해서 왜곡하는 다른 소리들을 듣지 말라고 하셨고, “누구든지 나로 말미암아 실족하지 아니하는 자는 복이 있도다 (마 11:6)고 하셨다.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자에게만 영생이 있다는 것이 복음이다 (요 3:36, 5:24, 6:47).
기독교는 핵심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죄의 용서와 화해와 회복이다. 기독교 신학은 어렵고 복잡한 학문을 추구하지 않아야 한다. 종교개혁 이후로 개혁신학이 복구하려 했던 것도 역시 예수님의 십자가와 부활의 능력이다. 예수님은 무슨 학당이나 학파를 세운 게 아니다. 토라에 의존하여 온 유대주의와는 전혀 다르다. 예수님은 종교적인 제도와 조직으로 인간이 행복을 얻고 죄를 씻는 길을 가도록 하지 않으셨다. 그러나 지난 2천년 동안 서구 유럽이 주도한 기독교의 세계는 자꾸만 어려운 신학화 작업에만 몰두해 왔다.
기독교의 핵심 진리는 하나님께서 인간을 지으시고 구원하시는 역사를 이해하고 깨닫게 하는 것이다. 선교는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복하도록 인간의 본분을 성경이 가르치는 대로 이해시켜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용서와 회복을 구체화하는 모든 실행들을 포함한다.
하나님께서는 인간에게 언어를 사용해서 말씀하시고, 최종 계시로서 예수 그리스도가 말씀을 이루시고자 이 세상에 사람의 몸을 입고 오셨다 (요 1:1,14). 사람은 하나님의 형상 (imago Dei)으로서 지음을 받았기에, 하나님께서 말씀을 주시고 소통을 하셨다.6)6) Richard B. Gaffin Jr. “Speech and the Image of God: Biblical Reflections on Language and Its Use,” in The Pattern of Sound Doctrine, ed. David VanDrunen (Phillipsburg: P&R, 2004), 183.
영원한 말씀이신 예수 그리스도는 회복된 형상을 보여주시고 드러내셨기에 기쁜 소식, 복된 말씀으로 어느 시대, 어느 민족에게나 주어졌다 (골 1:15). 그리스도는 말씀으로 녹여져서 하나님의 영감으로 녹여진 성경으로 인간의 언어화가 이루어졌다 (딤후 3:16). 하나님 자신을 보여주는 것과 같이, 성경을 선포하고 증거하는 것은 살아계시며 역사하시는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이다 (고전 15:58).
 

5. 교회론의 대변혁과 선교학의 도전

개혁주의 신학자들과 교회지도자들이 교회론의 대변혁을 일으켰다. 16세기에 이르기까지, 완전히 로마 가톨릭과 다른 종교개혁을 일으키게 된 것은 성경적인 구원론, 교회론, 직분론, 성례론 등에 연계된 진리들을 회복하기 위함이었다. 개혁신학은 언약과 하나님의 나라를 구속역사적인 접근방법으로 정립해나갔고, 점차 각성운동과 부흥과 갱신을 주도하였다. 개혁주의 교회들이 국내전도와 세계 선교를 향해서 헌신하고, 선교적인 신학을 세우는 과정은 세계화로부터 도전과 요청을 받으면서 시작된 것이다.
서구 유럽 개신교 교회가 19세기까지 선교사역을 감당해 왔는데, 개신교 신학전체를 선교사역 위주로, 선교를 위한 체계로 바뀌어야 한다는 주장이 대두되었다. 다음과 같은 대담한 선언이 나오면서 다시한번 개신교 교회론의 재구성이 시도되었다.
“선교사역은 그저 교회의 여러 가지 활동 중에서 하나로 취급될 것이 아니라, 모든 교회의 행사들을 결정하는 기준이 되어야만 한다”7)7) Johannes Blauw, The Missionary Nature of the Church (London: Lutterworth Press, 1962), 129.


그동안 너무나 개인중심의 구원론과 자체 교회 중심의 교회론이 지배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 것이다. 서구 교회가 그동안 예수님의 마지막 지상명령을 무시하고 간과했다는 지적에 동감하는 사람들은 특히 교회의 주요기능을 성도들의 교제와 하나님 나라로서의 사역에만 집중하여 예정론과 같은 일부 교리를 중요시하면서 선교에 소홀했다고 비판하였다. 신학과 교회는 선교를 위해서 존재해야만 한다는 논리가 강화되었다.8)8) David J. Bosch, Transforming Mission: Paradigm Shifts in Theology of Mission (New York: Orbis, 1991), 372.
그동안 선교는 신학의 핵심 가치와 원리에서 제외된 측면이 많았다. 선교학자들의 학문이었지, 조직신학이나 성경신학에서 중요하게 취급되지를 못하였다. 교회와 선교와의 사이에 긴밀한 관련성이 있지만, 그래서 교회론을 다루는 부분에서 선교가 활발하게 논의되어야 하지만, 조직신학이나 성경신학, 특히 신약신학에서 그리 핵심가치로 다루지 않았었다.
그러나 조직신학이나 전통적인 교회론을 비판하던 18세기 서구 유럽 자유주의 신학자들은 아예 선교를 거론도 하지 않았고, 실제로 앞장서서 열심히 실천하지도 않았다. 성경적인 신학을 구축하려 하기 보다는 인본주의적이며 인간 자율주의에 입각하여 철학적인 사색과 미세한 분석에 흐르고 말았다. 지금도 다른 나라와 열방, 이방인들의 영혼에 대한 걱정과 기도가 논의되지 않는 경향은 현저하다. 특히 조직신학과 성경신학과 같은 핵심적인 신학의 교과서들을 들여다보면 확인할 수 있다. 스콜라주의에 빠진 이론신학과 추상적인 개념을 중시하는 개념주의자들의 사상에는 구체적으로 담당해야하는 선교가 완전히 빠져있다.9)9) Harvey Conn, 14-15.
 

선교적인 노력이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다.10)10) 김재성, 「개혁신학의 전망」 (서울: 이레서원, 2004), 제 12장, “개혁주의 선교사상과 선교활동” 368-398.
18세기에서 가장 돋보이는 사역을 감당했던 요나단 에드워즈 (1703-1758)는 미국의 대각성운동을 주도하면서, 성령의 회개와 부흥운동을 전개하였다. 알미니안주의와 맞서서 하나님의 주권과 은혜로 주어지는 감동, 개혁주의 신학을 확고하게 지켜나갔다.11)11) Mark A. Noll, “Jonathan Edwards and Nineteenth-Century Theology,” in Jonathan Edwards and the American Experience, ed. Nathan O. Hatch and Harry S. Stout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88), 269.
에드워즈는 미국 신대륙 원주민 선교에 헌신하였던 칼빈주의자였다. 죠지 휫필드, 길버트 테넌트 등과 함께 근대 교회사에 새로운 부흥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21세기가 도래하면서, 다시금 선교가 모든 신학을 지배해야 한다는 새로운 주장이 제기되기에 이르렀다. 성경신학이나 신약신학, 구약신학처럼, 실천신학에서 따로 완전히 독립하여 선교적인 모델로 새신학을 구성해야 한다는 외침이 나온 것이다. 이렇게 선교중심의 관점으로 재편되려면 완전히 새로운 신학이 만들어질 수 밖에 없다.12)12) J. Andrew Kirk, What Is Mission? Theological Explorations (Minneapolis: Fortess Press, 2000), 30-31.

이론적인 신학과 실천적인 선교를 조화시키려는 매우 긍정적인 노력을 하는 시도가 선교학자들을 중심으로 제기되었다. 더 이상 선교신학의 한계를 두지 않으려 하는 것이며, 타지역에 사람을 보내는 것으로만 그치지 않고, 중심신학으로 옮겨서 도전을 주려고 시도하였다. 조직신학을 완전히 새로운 구조로 개편해야 한다는 주장은 개혁주의 신학자들과 비개혁주의 신학자들 모두로부터 제기되었다. 이런 선교중심적인 방법론적인 면에서 새로운 전제를 가지고 크게 영향을 미친 신학자는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 메첸 박사와 하비 칸 교수이다.
1929년 프리스턴 신학대학원에서 분리하여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을 창설한 그레샴 메첸 박사는 미국 정통장로교회라는 새로운 교단의 산파역을 맡으면서 해외선교를 역설하였다. 탁월한 신약학자였던 그는 새로 형성된 교단 해외선교부 대표로 활약하였다. 프린스턴신학의 거장들을 존중하였던 메첸 박사는 아취발드 알렉산더, 챨스 핫지, 벤자민 워필드와 같이 선교와 부흥운동의 비전을 품은 정통 칼빈주의 신학을 그대로 지켜나가고자 했었다.
또 한 사람은 1972년까지 약 10년간 사역하던 한국을 떠나서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으로 돌아간 하비 칸 교수였다. 그는 문화인류학, 선교학, 전도학 등을 체계화하는데 치중하였다. “신학의 선교적 임무”라는 글에서, 만일 교회가 선교를 중심에 놓고 사역하지 않는다면, 중대한 교정이 필요하며, 특히 조직신학의 관점이 철저하게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했다.13)13) Harvey M. Conn, “The Missionary Task of Theology: A Love/Hate Relationship?” Westminster Theological Journal 45 (1983): 1-21.
한국에서 주로 개척선교와 신학교육을 책임 맡았던 하비 칸 선교사는 “복음비평사”와 “현대신학해설”등을 저술하여서 1960년대에 필요한 역할을 한국선교사로서 성실히 수행하였다. 선교는 신학의 핵심이기에 분리할 수 없기에, 다시 미국에 귀국하여서는 한국장로교회의 신학을 정리하여 해외에 소개하였다. 만일 교회가 선교하는 의지를 잃어버린다면 성도들이 생각해야할 복음의 핵심적인 사역은 재구성되어야만 한다.

6. 선교적인 관점에 관한 논쟁

서구 유럽의 교회가 침체와 쇠퇴의 길에 접어들면서, 교회론 전체에 대해서 재구성해야 한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선교와 전도를 하지 않았던 18세기부터 20세기까지 서구 유럽의 교회는 숫적으로나 영향력에서나 감소하였다. 왜 서구교회가 그렇게 위축되었느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이유를 거론할 수 있을 것이다. 그중에서도 개혁신학자들 사이에 선교를 위한 조직신학이 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어서 선교신학적인 관점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 미국 칼빈신학대학원에서 선교학을 가르치다가 루터신학대학원으로 옮긴 크레익 반 겔더 교수는 전통적인 조직신학이 내놓은 교리적 강조점들을 모두 다 선교적인 관점에서 뒤집기를 해야 한다고 담대한 주장을 내놓았다.14)14) Craig Van Gelder, The Essence of the Church: A Community Created by the Spirit (Grand Rapids: Baker, 2000); Darrell Guder, The Continuing Conversion of the Church (Grand Rapids: Eerdmans, 2000).
반 겔더 교수는 딱딱한 조직신학이 핵심으로 다루는 두 가지를 고쳐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첫째는 개혁신학에서 가장 핵심으로 취급하는 언약과 선교와의 관계가 잘못 설정되어져 있다는 것이다. 언약신학은 선교적 모델로는 부적합하고, 새로운 신학적인 작업이 더 필요하다고 주장했다.15)15) Craig Van Gelder, “The Covenant’s Missiological Character,” Calvin Theological Journal 29 (1994):190-97.
하나님의 언약을 확신하는 사람들은 구원의 은총을 전파하기 보다는 자신들에게 적용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는 미국의 사회문화적 변화가 일어나는 가운데서는 더 이상 전통적인 교회론으로는 효과적인 목회에 맞지 않는다고 비판하였다.16)16) Charles Van Engen, God’s Missionary People (Grand Rapids: Baker, 1991); Kennon L. Callahan, Effective Church Leadership (San Francisco: Harper & Row, 1990); Blauw, The Missionary Nature of the Church, 122: “The centuries-old eccelsiology which has remained so static is now gradually being replaced by a more dynamic one which is both eschatological and missionary.”
성경적 교회론이 잘못되어서 오늘의 교회가 혼란에 빠져들었다는 것에 대한 입증은 별로 성공적이지 못한 채 끝나버렸다.
칼빈 신학대학원의 볼트 교수와 뮐러 교수가 이들 선교학적인 재구성주의자들의 입장을 요약하고 결코 전통적인 교회 론의 잘못이 아니라는 반론을 제기하였다.17)17) John Bolt and Richard Muller, “Does the Church Today Need a New ‘Mission Paradigm?” Calvin Theological Journal 31 (1996):146-208. Craig Van Gelder and Dirk Hart, “The Church Needs to Understand Its Missionary Nature: A Response to John Bolt and Richard Muller,” Calvin Theological Journal 31 (1996):504-19.
선교가 목적이 되어서 조직신학을 다시 만들어야 한다는 것과 ‘선교가 곧 교회의 유일무이한 존재목적이요, 최선의 임무다’는 식으로 몰아붙이는 것은 성경적인 기초라고 할 수 없다는 반론이다. 전통적인 교회 론에서 예배, 양육, 봉사, 구제, 성경공부, 교육 등을 핵심 가치로 추구하고 있는데 오로지 선교 적 목적에만 두어야 한다는 것이 잘못된 것이라고 비판하였다.18)18) Bolt and Muller, “Does the Church Today”, 196; “Mission must become the premier if not sole defining characteristic of Ecclesiology. The church, it is claimed, now is mission and must be ‘revisioned’”.

“교회는 선교기관이다”라고만 극단적으로 단순화 시키는 것은 분명히 지나친 주장이라고 본다. 선교적인 재구성을 원하는 자들은 교회 론에 대해서 객관적이 점검도 제대로 하지 않고서 비판에만 열을 올리고 있다. 16세기 종교개혁자들의 교회 론을 잘못 구성하였다고 비판한다.19)19) David Watson, I believe in the Church (London: Hodder and Stoughton, 1978), 253.
또한 선교사들을 파송하는데 열심을 내지 않았고, 선교적인 임무를 강조하는 신학을 구성하지 않았다고 비난한다.20)20) Johannes Verkuyl, Contemporary Missiology: An Introduction (Grand Rapids: Eerdmans, 1978), 18-19.
이것은 전혀 사실에 맞지 않는다. 전통적인 개혁주의 교회 론에서 강조했던 것은 참된 교회와 거짓 교회 사이의 구별에 대한 것이었지만, 결코 전파하고 증거하는 일을 무시했던 것은 아니다. 전통적인 개혁교회가 3대 교회의 표지들, 참된 복음의 선포, 권징의 정당한 시행, 말씀에 근거한 성례 등을 강조했지만, 오직 교구 내 주민들만을 대상으로 삼은 것은 아니었다.

마치는 말

서구 유럽교회가 선교적인 비전을 잃어버린 것은 이미 서구 유럽의 교회론이 변질되었기 때문이다. 교회가 사회 정의와 사회적 도덕성 함양으로 변질되었던 것은,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이해가 변질되었기에 나온 결과물이었다. 서구교회가 잃어버린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되찾을 때에 가능한 것이다.
종교개혁자들처럼, 개혁신학이 말씀을 중심으로 하는 사역을 전개하는 이유는 문자에 얽매이는 것이 아니요,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게 하는 변혁의 과정을 이뤄내는 힘이기 때문이다.21)21) John Calvin,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tr. Ford L. Battles (Philadelphia: Westminster, 1960), I.11.8.
하나님의 최종계시 예수 그리스도는 인간의 세계 속에서 죽으심과 부활로 존귀하게 사역을 이루었고, 인간의 언어로 교회에 약속해 주셨다.
교회는 가감없이 말씀의 선포를 책임지는 기관이 되었고, 성령께서 모든 선포사역을 친히 주관하신다. 예수 그리스도와 그의 말씀은 유대주의 속에서 출발했지만, 헬라 문화에 빠지지 않았고, 로마의 정치나 법률과도 전혀 혼합하지 않았다.

조직신학, 국제신학대학원 대학교, 부총장

저작권자 © 기독교한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