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 태 영 목사
신명기에 ‘면제년’이라는 게 있다(신 15:1-11). 면제년 규범은 안식일, 안식년, 희년으로 이어지는 쉼의 명령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 하나님 안에서 쉬라는 명령이다. 인간은 매 7일마다 안식일을 지킴으로서 하나님-인간-자연과 더불어 바른 관계를 맺어야 한다. 본시 안식일 명령은 먹을 것 걱정 없는 부자들에게 여가생활을 하라는 게 아니다. 지나친 양극화를 막고 가난한 사람들의 생존권을 보장하라는 것이다. 레위기는 한발 더 나아가 땅 자체의 쉴 권리까지 주장하고 있다. “제 칠 년에는 땅으로 쉬어 안식하게 할지니 여호와께 대한 안식이라”(레 25:4)고. 땅을 안식하게 하라니. 기계론적인 세계관에서 땅은 물질에 불과하다. 요즘 한국 사회에서 땅은 개발 대상이요, 부자 만들어주는 부동산이다. 그러나 성서는 땅을 돈 벌이 수단이 아닌 살아 있는 생명체로 여긴다. 가난한 자들과 짐승들뿐만 아니라 땅의 건강까지 챙기시는 하나님이시다.

면제년 규범이 무시되는 사회, 그리하여 가난한 이들의 숨통을 죄는 사회는 필연코 정의는 없고, 부자들만이 신나는 사회이다. 날품팔이 노동자이거나 소작인은 필연적으로 가난할 수밖에 없다. 그들은 어쩔 수 없이 빚을 지게 된다. 그리하여 가난한 이들의 최소한의 생존권을 보장하여 면제년만큼은 빚을 독촉하지 말라고 한다. 여기에도 어김없이 축복과 저주가 기다리고 있다. “오늘날 네게 명하는 그 명령을 다 지켜 행하면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게 유업으로 주신 땅에서 네가 정녕 복을 받으리니 너희 중에 가난한 자가 없으리라”(신 15:5). 

사람들은 대체로 복을 개인적인 것으로 여긴다. 그러나 성경은 복을 공동체적인 것으로 여긴다. 내 주변에 굶주리는 자가 없고, 핍박받는 자가 없고, 탄식하는 자가 없으면 그들이 사는 땅이야말로 복을 받은 것이다. 이런 공동체적인 복 개념이 예언자들에게서는 하나님께서 직접 통치하시는 나라로 발전하게 되고, 예수에게 이르러서는 ‘하나님 나라 운동’으로 이어진다. 그런데 예수께서는 하나님 나라에 대해서 ‘…와 같다’고 비유로만 말씀하신다. 그 나라는 세상 나라들처럼 제도나 시스템 이전에 도덕적이고 영적인 ‘깨달음’에서 비로소 드러나기 때문이다. 지금 대한민국에서 꼭 실현되어야 할 말씀 아니던가!

삼일교회 담임

저작권자 © 기독교한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