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 종 문 목사
신학교를 졸업한 예비 목사들이 갈 곳이 없다. 교회 수에 비해 목회자가 지나치게 많다 보니 교단 소속 교회 교육전도사 자리는 말할 것도 없고 부목사 자리는 ‘하늘에 별 따기’보다 더 어렵다는 하소연이 나돌고 있다. 그런데도 신학대학교는 꾸준히 증가되어 가고 있고 또 외국신학대학교 분교도 넘쳐나고 있다. 더욱이 군소교단 신학교도 우후죽순처럼 생겨나 신학교 전성시대를 이루고 있다.

이처럼 신학생과 목회자가 넘쳐나다 보니 그 가치성이 하락하는 풍조까지 생겨났다. 대개 담임목사 청빙 때 ‘학력’을 최우선으로 심사한다고 한다. 그래서 담임목사에 청빙되려면 명문대학교 출신이어야 한다는 조건이 이미 공공연하게 받아들여지고 있을 정도다. 이런 현상은 너나 할 것 없이 소명감 없이 생계수단으로 목회의 길을 택한 당사자도 문제지만 신학대학교의 난립도 큰 몫을 하고 있다고 봐야 한다.

목회자 한명을 양성하려면 많은 교육비용과 시간이 투자되어야 한다. 그리고 어느 분야에서 보다 탁월한 능력을 가진 인재를 발굴하여 소명감과 투철한 신앙을 바탕으로 완전한 인격을 갖춘 신앙지도자로 육성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 현실에서 일반 대학교를 가지 못한 일부 열등한 자들이 단지 대학의 문을 들어가기 위한 방편으로 이용되어 왔다는 사실도 부인키 어려울 것이다. 그래서 일부 신학교나 신학원도 단지 돈벌이를 위해 무자격자들을 마구잡이로 받아들여 자질 없는 목회자들을 양성하고 있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는 것이다.

특히 각 교단들은 과거처럼 목회자들을 많이 배출하면 그만큼 복음선교 역군이 늘어나고 또 그 수에 따라 교회도 세워진다는 단순 숫자게임 수준의 목회자 양성 정책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을 면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갈수록 심각해져 가고 있는 목회자 실업자 문제는 이제 단순히 개인 차원에서 머무는 것이 아니다. 목회자 실업자가 증가되는 만큼 무분별한 개척교회 난립과 신자 쟁탈전이 치열해질 위험이 도사려 있고 이런 현상이 심화될수록 교회는 내부적으로 먼저 타격을 받게 될 것이다.

지금이라도 각 교단은 목회자 수급문제를 보다 과학적으로 분석해서 정밀하고 합리적인 목회자 수급계획을 수립해 나가야 한다. 현실적으로 볼 때 다수의 목회자보다 소수의 수준 높은 목회자를 양성하는 것이 더 시급하다.

지금은 복음선교가 ‘수’적인 문제가 아니라 ‘질’적 문제가 과제다. 교육문제로 이민 가는 인구가 급증하고 있는 마당에 신학교 교육문제에 대해서 여전히 무감각한 한국교회는 깊이 반성해야 한다. 무책임한 신학교육 행정은 한국교회의 미래를 더욱 어둡게 할 뿐이다. 훌륭한 인재를 양성하는 새로운 21세기형 신학교육 정책에 관심을 두고 지금이라도 실천해 나가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목회자 실업 문제는 전적으로 사회책임이 아니라 교회 책임이라는 점을 교회지도자 모두 인식할 필요가 있다.

예장 통합피어선 증경총회장

저작권자 © 기독교한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