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 종 문 목사

최근 인문학이 죽어가고 있다는 우려 속에서 한국 신학의 흐름이 정체에 빠져 있다는 걱정이 커지고 있다. 신학은 교회에게 양식과 같아서 그 시대에 맞는 복음 선교의 방향을 정립해준다.

그러나 예전과 달리 한국 신학이 무엇을 말해야 할지 방황하고 있다면 미래에 대한 복음적 희망을 찾기 어려울 것이다. 우리 사회가 산업화를 겪으면서 물질적인 발전 뿐 아니라 교회도 성장하게 됐다. 이는 한국교회가 그 시대를 인도해 나간 견인 역할을 한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이 과정에서 발생된 정치와 사회 문제는 교회가 무엇을 해야 할지 분명한 태도를 자각하게 해 주었다. 예컨대 민주화 운동이나 혹은 약자를 위한 빈민 및 노동선교 등이 활기 있게 전개 될 수 있었던 것은 민중 신학을 중심으로 한 한국적 토착신학이 그 토대가 되었기 때문이다. 한 신학자가 지적했듯이 교회로 하여금 복음 선교를 위한 ‘희망 신학’이 오늘 한국교회를 있게 한 원동력이었던 것이다.

이렇게 생기가 있는 신학이 오늘 날 잠잠한 이유는 무엇일까. 첫째 사회 변화에 따른 교회역할을 제대로 찾지 못한 점을 꼽을 수 있다. 우선 군사독재가 종식되고 민주화가 이뤄졌고 아울러 소득이 높아지면서 산업선교나 빈민선교 등 약자를 위한 목회가 쇠퇴해졌다. 이로서 한국교회가 해야 할 일이 축소된 결과, 움직이는 선교가 둔화된 것이다. 분명한 선교정책을 수립하지 못한 채 현실에 안주하기 시작했다.

둘째 공산권이 무너지면서 이념적 갈등이 크게 해소되었다. 긴장이 완화되면서 진보수간 교회의 경계가 모호해졌고 갈등보다 안정을 추구하는 많은 교인들이 점점 신앙의 보수화를 겪게 되었다. 이렇다 보니 신학이 교회를 이끌어가는 것이 아니라 교회가 신학을 이끌어 가는 세상이 되었다. 다시 말하면 신학의 등불이 교회 밖에서 교회 안으로 들어 간 것이다.

셋째 새로운 신학을 만들어 내기에는 너무 많은 정보와 지식이 쏟아졌다. 신학은 세상의 지식을 다 습득하지 못하고 수많은 지식 정보 속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이처럼 신학이 생기를 상실함으로써 현실에 맞는 신학 부재로 결국 교회는 더욱 세상 논리를 따라 가게 되었다. 오늘 날 신학이 없는 교회에 대한 우려는 바로 이점에서 비롯된 것이다.

교회는 지금이라도 세속적인 논리에 휩쓸리지 말고 하루 빨리 교회의 양식인 신학을 찾아야 한다. 적극적인 신학교육의 지원과 육성이 이뤄져야 하고 신학대학교를 일반대학교로 전환하기보다 신학의 전문성을 키워야 한다. 그래야 한국교회가 제 갈 길을 찾을 수 있으며 다시 한국교회의 성장이 시작될 것이다.

예장 통합피어선 증경총회장

저작권자 © 기독교한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