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 헌 철 목사

작금에 우리는 사람이 살아가는 과정에서의 목적과 가치관이 뿌리까지 흔들리는 혼란에 빠져 있다. 한 가닥 양심 등을 기대한 다면 거추장스러울 만큼 사치로 보여 질까? 무엇이 진실이고, 무엇이 바른 것이고, 무엇이 바람직 한 일인지 그 분별에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물론 “그까짓 것들을 왜 신경 쓰느냐?”고 할지 모르지만, 권력이 있고, 돈이 있고, 지식 등이 있다는 이들의 말 역시 우리를 더욱 혼란스럽게 만들고 있지 않은가? 따라서 우리의 후세대들이 참으로 걱정되지 않을 수 없다. 대한민국이야 어찌되든 자신들의 정욕을 우선하는 사람들, 그들에게는 대한민국의 미래 따윈 전혀 관심이 없어 보인다.

따라서 생각해 본다. “의리(義理)”란 무엇일까? 우리의 정치사에서 유난히도 “의리”라는 말이 빼놓을 수 없는 화두가 되어 왔다. 그러나 의리(義理)란 “사람들이 살아가는 과정에 있어서 마땅히 지켜야 할 올바른 도리” 등을 말한다. 따라서 범죄행위나 올바르지 않은 일에 가담 하거나, 옹호하거나, 감추는 일 등을 두고“ 의리 운운해서는 절대로 안 된다. 그런데도 우리는 의리라는 말을 아무데나 찍어 붙여 그 가치관에 혼란을 주고 있다.

또한 배신(背信)의 정치 운운 하는 것도, 잘 이해하도록 해야 한다. 바른 진언을 하면 배신일까? 잘하자고 의견을 개진하면 배신일까? 신앙에서 벗어나지 말자고 하면 배신일까? 우리는 무엇이 배신(背信)이고, 무엇이 정의(正義) 일까에 있어서, 국민들을 혼란에 빠뜨려서는 안 된다.

변호사에 대한 인식도 그렇다! 변호사가 법을 불의하게 이용하는 것은 정직하지 못한 행위이다. 변호사란 죄 없는 자의 억울한 일을 당하지 않도록 하며, 범죄 사실이 있다 해도 그 일을 행하게 된 사정을 입증 선처를 구하는 일 등에 있어서 자기의 소명이 어려운 사람들을 보호하거나 도움을 주기 위한 등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우리의 현실은 변호사 하면 돈을 받고 불법한 자들을 죄 없다거나 보호하려는 행위 등으로 인식함으로 변호행위가 불법을 조장하며, 불법을 감추려는 불법의 동조자들과 다를 바 없이 인식되고 있다. 절대로 범죄 사실을 인정하지 말라고 조언 하는 것, 범죄 사실을 감추는 것 등을 정당화 또는 능력으로 인식되게 하는 것은 우리의 후세대들에게 지극히 잘 못 된 것을 교육하는 결과를 낳는 것이다.

영화 밀정에서 “자신의 이름을 어느 역사 위에 올려놓을 것인가?”라는 말이 필자의 가슴을 고동치게 하였었다. 그러나 현대의 우리 사회는 ‘금 수저’, ‘은 수저’, ‘흙 수저’,등의 이야기까지 회자 되고 있어 마음이 아프다. 그래도 잊지 말아야 할 것이 있다. ‘흙 수저들’은 힘들어 하면서도, 눈물을 흘리면서도, 아파하면서도 항상 열매를 맺어 왔다. “흙이 씨앗을 품고 열매를 맺음과 같이” 그럼으로 “흙을 오염 시키지 말자!” 흙이 오염되면 열매를 기대할 수 없다.

니체는 “세상에는 진짜보다 우상이 더 많다 망치를 들고, 기존의 틀을 때려 부수는 것이 철학이다.”라는 말을 왜 하였을까를 생각하며, 작금에 종교계 시국선언에서 기독교계 참여자들 중 일부목사님들의 면면을 보면서 실소를 금할 수 없었다. 그 분들에 대한 지금까지의 행적이 과연 그 자리에 앉아 목소리를 높여도 되는 것일까? 하는 의문 때문이다. 따라서 종교개혁 500주년을 눈앞에 둔 우리로서는 ‘츠빙글리’ 등의 순교신앙과 바리새인, 서기관 등의 신앙 사이에서 허공을 응시하게 된다.

(14)오직 각 사람이 시험을 받는 것은 자기 욕심에 끌려 미혹됨이니 (15)욕심이 잉태한즉 죄를 낳고 죄가 장성한즉 사망을 낳느니라(약 1:13-14)

한국장로교신학 학장•본지 논설위원

저작권자 © 기독교한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