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탁기 목사

최근 안양의 모 교회가 또 다시 세습논란에 휘말리면서 한동안 잠잠하던 교회세습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그동안 수많은 대형교회들이 아들이니 사위에게 담임목사 자리를 대물림하면서 적지 않은 곤혹을 치렀다. 이에 따라 감리교나 예장 통합 교단은 총회 차원에서 세습방지법안을 마련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많은 목회자들은 세습 그 자체를 문제 삼는 것에 불편한 기색을 보이고 있다. 이들은 성직을 대물림하는 것에 대해 세속적인 잣대로 판단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이러한 목회자들의 경우 목회자에 대한 존경심과 아울러 특권의식이 강한 특징을 보인다. 또한 교회를 담임목사의 순수한 노력의 대가로 여길 뿐 교회가 사회의 공유물이라는 인식이 낮은 경향이 있다.

반면 대형교회의 목회세습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사람들은 대형교회가 기복신앙의 산물이며 개교회주의에 매몰된 본보기라고 지적하고 있다. 다른 목회자들에게 물량주의적 목회를 부추기고 도시의 미자립교회나 농어촌교회의 목회자들에게 박탈감과 위화감을 조성한다는 것이다. 재정이 어려운 교회나 사회의 그늘진 사각지대에서 대형교회가 해야 할 일들이 산적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제와 봉사에는 인색하기 그지없다는 것이다.

이처럼 막대한 부와 권력을 가진 대형교회 담임목회자의 자리를 자신의 아들이나 사위에 물려주는 것에 대해 미자립교회나 작은 교회 목회자들은 물론이고 사회적으로도 신랄한 비판에 직면해 있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일부 대형교회에서 이뤄지는 목회세습은 목회자의 세속적인 교회관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지금까지 한국교회 목회자 대부분이 교회관에 대해서는 철저하게 목회자 중심의 사고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교회의 소유권을 놓고 볼 때 ‘공’적인 개념보다 ‘사’적인 면이 강하다.

대개 목회에 첫발을 내민 목회자들은 끊임없이 교회성장에 중점을 두고 대형교회 목회를 모델로 삼고 있다. 우리나라 목회자들이 교회 대형화를 추구하는 목회에 가장 관심을 두고 있는 것은 바로 목회 성공 여부를 ‘외적인 성장’에 두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식이라면 특수 목회를 하는 목회자나 선교사, 혹은 구제사업에 헌신하고 있는 목회자, 또 농어촌 목회자들은 모두 실패한 목회자라고 해야 된다. 이런 목회관이 바뀌지 않는 한, 세속적으로 볼 때 교회란 기업과 다를 바가 없다는 오해를 불식시키기 어렵다.

또한 대형교회로 성장하지 못한 목회자들은 항상 대형교회 담임목사에게 굽신거려야 하고 또 선교비를 보조 받으려면 온갖 수모를 다 겪어야 한다는 불만이 팽배해져 있다.

실제로 특수목회를 하고 있는 목회자들은 대형교회 지원보다 오히려 독지가들이나 성도들의 도움이 압도적이다. 대형교회에 비판이 가해지고 있는 것은 실제로 교회 위에 군림하고 있는 세속적 기업성향 탓이다.

교회가 세속화되고 사유화되면 더 이상 교회로서의 사명을 감당하기가 어려워지기 마련이다. 모든 목회자들이 으리으리한 예배당을 건축하고 주변의 작은 교회들은 아랑곳하지 않고 교인들을 끌어 모아 외적인 성장을 이루는 데에만 혈안이 된다면 한국교회에 무슨 희망이 있겠는가. 또한 이렇게 쌓아 올린 교회를 마치 자신의 것인 냥 자식들에게 대물림한다면 국민들이 교회에 무슨 기대를 할 수 있겠는가.

교회세습이 교회 안팎에서 끊임없이 논란이 되는 것은 그만큼 한국교회가 건강하지 못하다는 반증이다. 교회가 부와 권력을 소유하고 이를 대물림한다는 인식이 사회 저변에 광범위하게 퍼져 있기 때문이다. 지금부터라도 대형교회들이 ‘노블레스 오블리주’ 정신으로 더 많이 나누고 봉사할 때 이러한 인식을 조금이라도 해소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한국그리스도의교회협 증경회장

저작권자 © 기독교한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