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의 중심이 점차 남반구로 옮겨가는 것을 확인했던 20세기 중반 이후로, 세계 선교학계에서는 서양 종교가 아닌 세계 종교로서의 기독교에 대한 학문적 논의가 활발한 상태다. 세계 기독교(World Christianity)라는 새로운 학문의 분야는 서양 중심의 제도권적인 기독교가 아니라, 복음이 전 세계의 다양한 문화와 사회에 어떤 영향을 끼쳐왔는지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한국선교연구원(원장 문상철 박사·KriM)은 2017 상반기 한국 선교학 포럼을 서울 서초구 반포2동 남서울교회 비전센터 2층 교육관에서 갖고, ‘아프리카 독립 교회와 조상 숭배’의 사례를 통해, 세계 기독교의 보편화(universalization)와 개별화(particularization) 과정의 복잡한 상호작용에 대해서 고찰했다.

발제자로는 미국 보스턴 대학교에서 Dana Robert 교수의 지도하에 세계 기독교와 아프리카 기독교를 연구하고 있고, 현재 아프리카 부룬디의 International Leadership University에서 교회사와 세계 기독교를 가르치고 있는 문대원 선교사가 나섰다.

문 선교사는 20세기 중반 이후로 많은 학자들이 아프리카에서 조상이 가진 사회학적, 현상학적 가치와 의미를 인정하기 시작했음을 밝히고, 아프리카 독립교회의 현격한 부상은 조상과 관련된 아프리카인들의 전통적 종교 관습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요구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또한 문 선교사는 “아프리카 전통 세계관에서 죽은 자들은 쉽게 잊히지 않고, 생존하는 가족들의 일상생활에서 계속해서 중요한 역할을 감당한다”면서, 많은 아프리카 기독교인들이 회심 이후에도 여전히 조상에 대한 믿음을 갖고 있는 주된 이유라고 주장했다.

특히 문 선교사는 “아프리카인들은 그들의 일상 여러 부분에서 매우 종교적”이라면서, “이들은 종교의 영역과 세속의 영역이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지 않으며, 영적인 문제와 물질적인 문제도 뚜렷하게 구분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아프리카의 문화와 전통의 영향을 모두 이교적, 미신적으로 간주하는 것은 지양해야 할 것이라고 피력했다.

덧붙여 문 선교사는 아프리카 독립교회가 복음을 아프리카의 문화적, 사회적 상황에 맞게 변화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음을 설명했다.

이에 “아프리카 독립교회의 가장 큰 공헌은 기독교를 더 이상 서양의 종교가 아닌, 자신들의 신앙으로 변화시켰다”면서, “조상과 연관된 의식을 정화하는 동시에 변화, 보존하는 사명도 아프리카 독립교회가 감당해야 할 일이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아프리카 기독교인들이 오늘날 현실 세계에서 질병과 기근, 가난과 악한 영으로부터 그들을 보호하고 구원하는 그리스도의 사역을 경험적으로 고찰하며, 아프리카 전통 종교에서 조상이 가졌던 중재자의 역할을 가장 완벽하게 구현하고 완성하는 것이 바로 예수 그리스도”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문 선교사는 아프리카 사회에서 조상이 내포하는 이미지가 가감 없이 그리스도로 전이 되는 심각한 기독론적 오류에 빠지는 것은 경계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했다.

저작권자 © 기독교한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