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 헌 철 목사

박원순 서울시장이 변호사, 시민사회 활동가, 기업의 사외이사 등으로 활동하면서 기부한 액수가 32억원이 넘는 것으로 파악됐다. 박 시장은 변호사, 시민 운동가로 활동하며 받은 상금 대부분을 기부했고, 사외이사를 지내며 받은 돈도 대부분 사회에 환원했다.

박 시장의 본격적인 기부는 1989년 시작됐다. 1986년 출범한 역사문제연구소가 건물 터전을 마련하는 데 어려움을 겪자 1989년 자신의 용산구 한남동 57평형 청화아파트와 서대문구 연희동 땅을 내놨다. 이들 부동산의 가치를 2013년 공시지가 기준으로 환산하면 약 26억원에 해당한다. 박 시장은 1998년 제10회 '올해의 여성운동상'을 공동 수상하고 받은 상금 전액도 기부했다. 당시 국내 최초 성희롱 재판인 '서울대 우조교 성희롱 사건'을 이종걸, 최은희 등 변호인과 맡아 대법원 승소를 끌어낸 공로를 인정받았다. 1심과 상소심에서 패소했지만, 성희롱 정황과 자료를 수집해 재판부를 설득했고 항소심 재판부의 부당성을 지적해 승소했다. 이 사건은 성희롱 문제를 사회 이슈화시키는 데 공헌했다는 평가를 받았다.(중략)

2002년에는 제15회 '심산상'을 수상해 상금 1천만원을 받았다. 2006년에는 제10회 '만해대상' 실천부문 수상자로 뽑혀 2천만원을 상금으로 받았다. 심산상 상금을 모두 아름다운재단 심산 활동가 기금으로, 만해대상 상금 전액을 참여연대 상근자 교육기금으로 각각 내놨다. 2007년 '아시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필리핀 막사이사이상 공공봉사부문 수상 상금 5만 달러 역시 전액 국제사회에 기부했다. 필리핀에 본부를 둔 6개국, 1천600여개 비영리단체 연합 'CODE-NGO' 활동에 이용하도록 상금을 전달했다. 박 시장은 지난해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뛰어난 성과를 거둔 개인·단체에 주는 스웨덴 예테보리 지속가능발전상을 받았다. 이 가운데 5천만원을 '일본군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재단'에 내놨다. 1990년대부터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법적 지원 활동에 참여하고, 2000년 일본군 성노예 전범 국제법정에서 한국 측 검사로 활약하는 등 인연이 기부를 결심하게 했다. '소액주주운동' 등 기업 감시 활동도 편 박 시장은 기업의 사외이사로 활동하며 받은 급여도 대부분 사회에 환원했다. 2003∼2011년 풀무원 사외이사로 일하며 받은 1억7천여만원과 2004∼2009년 포스코 사외이사 급여 2억6천여만원도 아름다운재단이나 희망제작소 등에 기부했다. 박 시장은 지난해 기자간담회에서 "사외이사 하면서 받은 월급, 퇴직금, 스톡옵션으로 받은 주식 등도 모두 기부했다" 그걸 집에 갖다 줬으면 지금처럼 빚더미에 있진 않았을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중략)(출처 : 연합뉴스, 2017. 03.05)

그래서 생각해 본다. 작금에 ‘박원순’ 시장을 비난함에 있어서 그의 족적(足跡)까지도 짓밟아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꼭 짓밟고 싶다면, 자신들도 ‘박 시장’과 같이 재산 등을 사회에 기부, 헌납하는 등을 삶을 살면서 비난해야 할 것이다. 그렇지 않고 고소당한 부분만 판단한다면 편견의 오해를 받을 수 있다. 자신들이 옹호하거나 박수를 보내는 자들에 대하여는 고문, 살인, 학살, 착취 등을 자행했거나 행해도 공과(功過)를 말하며 그들의 공(功)을 목소리 높여 주장 하기도 하지 않았는가? 그런데 ‘박원순’ 시장에 대하여는 과(過)만을 판단, 비난한다면 합리적이라 할 수 없다. 물론 피해 당사자는 자신의 아픔과 고통을 얼마든지 주장하며 법적 행동 등을 취할 수 있다. 그러나 주변에서 바라보는 자들의 판단, 비방 등엔 세심한 주의를 필요로 한다. 예수님께서 “어찌하여 형제의 눈 속에 있는 티는 보고 네 눈 속에 있는 들보는 깨닫지 못하느냐 보라 네 눈 속에 들보가 있는데 어찌하여 형제에게 말하기를 나로 네 눈 속에 있는 티를 빼게 하라 하겠느냐 외식(外飾)하는 자(者)여 먼저 네 눈 속에서 들보를 빼어라 그 후(後)에야 밝히보고 형제의 눈 속에서 티를 빼리라(마태복음 7장 3절~5절) 라는 말씀을 범하는 일이 없도록 하자.

한국장로교신학 학장•본지 논설위원

저작권자 © 기독교한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