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피 버스데이

시골 버스정류장에서
할머니와 서양 아저씨가
읍내로 가는 버스를 기다리고 있다
시간이 제멋대로인 버스가
한참 후에 왔다

-왔데이!

할머니가 말했다
할머니 말을 영어인 줄 알고
눈이 파란 아저씨가
오늘은 월요일이
라고 대꾸했다

-먼데이!

버스를 보고 뭐냐고 묻는 줄 알고
할머니가 친절하게 말했다

-버스데이!

오늘이 할머니의 생일이라고 생각한
서양 아저씨가
갑자기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다

-해피 버스데이 투 유!

할머니와 아저씨를 태운
행복한 버스가
힘차게 떠났다

▲ 문 현 미 시인
문학은 언어로 이루어진 예술이다. 그 중에서 시는 다른 문학 장르에 비해 언어에 더 민감하다. 짧은 형식에 몇 안 되는 시어로 삶의 희노애락이나 자연에 대한 감정을 압축해서 표현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시인을 일컬어 언어의 연금술사라고도 한다. 그만큼 시인은 언어를 잘 다루어야 한다. 시를 쓸 때 시인은 첨예한 언어 선택을 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인다. 시 한 편이 완성되기까지 짧게는 한 달, 길게는 수년이 걸리는 경우도 있다. 최소의 언어로 최고의 예술품이 탄생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오시인은 대학에서 교편을 잡다가 퇴직 후 고향 제천에 가서 폐교를 문학관으로 개조해서 지내고 있다. 흙을 일구고 거름을 주면서 텃밭을 가꾸는 생활을 한다. 자연과 더불어 사는 삶 속에서 시인은 많은 걸 배우고 깨달았을 것이다. 대개 그의 시는 읽다 보면 입꼬리가 자꾸 올라갈 정도로 재미가 있다. 그만의 천진난만과 유머 감각으로 시를 빚어내기 때문이다. 그는 평소 국어사전을 곁에 두고 지낼 만큼 우리 말에 대한 애정이 남다르다. 그래서 잘 모르던 우리 말이 그의 시에 자주 나타난다.

소통과 공감이 필요한 시대이다. 이런 때 시골 할머니와 외국인이 서로 주고 받는 대화를 소재로 엮은 시가 웃음을 자아낸다. 시골 할머니가 사투리로 독백처럼 한 말을 눈이 파란 아저씨 외국인이 영어로 알아 들으며 주고 받는 광경이다. 시의 후반부에 서양 아저씨가 친절하게도 생일 축하 노래를 부르는 장면이 있다. 이렇게도 사람과 사람 사이에 훈훈한 소통이 이루어지다니... 옛말에 귀를 기울이면 사람의 마음을 얻을 수 있다는 이청득심(以聽得心)이 떠오른다. 오시인의 멋진 시작 솜씨 덕분에 “행복한 버스”를 타는 기쁨이 차오른다. 시는 삶에서 건져 올린 보석과 같다는 말에 공감이 가는 가을날이다.

백석대 교수

저작권자 © 기독교한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