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 진 성 목사
추수감사절이 다가오면서 각 교회마다 헌금에 상당한 관심을 쏟고 있는 것 같다. 일 년에 한번 갖게 되는 중요한 절기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추수감사절은 오랜 전통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그 동안 하나님으로부터 받은 은혜에 대한 감사를 물질적으로 하나님에게 바치는 것으로 교회는 이때 부족한 재정을 채울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는 셈이다.

그러나 요즘처럼 농촌보다 대개 도시화되어 버린 풍토 속에서 추수감사절은 그 의미가 축소된 느낌을 받지 않을 수 없다. 그래서 도시 교회들은 농사도 짓지 않는 마당에 무슨 추수감사절이냐는 불만도 나오기도 한다.

하지만 추수감사절은 말 그대로 일 년간 농사를 지은 그 대가를 하나님에게 바치는 개념보다는 일 년간 자신이 살아온 과정에서 하나님으로부터 받은 은혜에 보답한다는 의미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그런 점에서 추수감사절 행사도 농촌의 추수분위기보다 도시생활에 어울리는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행사를 계획하고 실천하는 것이 더 적합한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사실 추수감사절은 과거 일 년간 농사를 지어 풍년을 맞아 거둬드린 곡식의 일부를 감사하는 마음으로 교회에 바치는 것이었다. 농촌사회에서 비롯된 이 추수감사절이란 절기는 이제 도시화로 변한 공장제 풍경과 어울리지도 않고 또 도시 교회 성도들에게도 그다지 큰 의미를 부여해 주지 못하고 있다.

이 시점에서 추수감사절을 새롭게 해석하여 도시 성도들이 의미 있게 받아들일 수 있는 행사로 바꿔나가야 할 것이다. 그리고 추수감사절을 단지 헌금을 걷기 위한 행사로 여기지 말고 지역 주민들도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지역행사로 확대시켜 보는 것도 생각해 볼 일이다.

그러므로 추수감사절은 여러 절기 가운데에서도 가장 중요한 절기인 만큼 주민들 모두 관심을 가질 수 있는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한해 하나님의 은혜를 감사할 줄 아는 신앙을 느끼게 해 줘야 진정한 절기를 보내는 의미가 있다.

그러나 요즘 교회는 외적인 행사를 되도록 축소하고 내부적으로 간단하게 헌금을 강조하는 식의 행사로 끝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교회는 적어도 절기가 기독교인들의 신앙생활에서 소중하고 중요한 의미를 갖도록 최소한 노력을 아끼지 않을 때 지역에 기독교 문화가 확산되고 그만큼 복음 선교가 확대될 기회를 갖게 되는 법이다.

그렇지 않아도 갈수록 기독교적 문화가 퇴색해 나가고 있다는 목소리가 높아가고 있는 마당에 교회들마저 절기를 외면한다면 기독교적 문화의 분위기는 아예 소멸되는 것은 아닌지 우려가 앞선다.

복음 선교는 문화적 배경이 강해야 한다. 과거 우리 교회가 성장 할 수 있었던 것도 이러한 이유이다. 크리스마스나 부활절 등 기독교 고유의 절기는 복음을 전파하는 훌륭한 매개체가 되어 왔다. 여기에 여의도 대형집회 등 사회적으로 기독교 분위기가 한껏 고조되었을 때 한국교회는 더욱 발전하고 성장할 수 있었다.
지금은 그런 기독교적 분위기가 사라지고 사람마다 교회로부터 멀어지는 느낌을 받고 있다. 이런 풍토가 적지 않게 복음 선교의 장애가 되고 있다는 현실적인 문제를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

기독교적 문화의 조성은 복음 선교의 기초가 되는 것이다. 그런 만큼 교회마다 절기를 맞아 생각 없이 재정적 충당을 위한 헌금행사로만 끝내지 말고 절기행사를 통한 기독교적 문화 조성에 앞장서길 당부한다. 교회에 대한 거부감 보다 친근감이 더 강해지게 될 것이며 교회에 대한 이미지도 훨씬 좋아 질 것으로 예상된다.

추수감사절은 기독교에서 매주 중요한 절기임에도 불구하고 마땅한 기독교문화를 꽃피우지 못했다. 교회 내에서조차 절기 헌금만을 강조하고 있다. 한 해의 결실과 돌보아 주심을 하나님께 감사하고, 추수의 열매를 감사와 기쁨 속에서 주변 이웃들과 함께 나누는 올해 추수감사절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샬롬교회 담임•본지 논설위원

저작권자 © 기독교한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