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내가 새로워지지 않으면
새해를 새해로 맞을 수 없다. 

​내가 새로워져서 인사를 하면
이웃도 새로워진 얼굴을 하고 

​새로운 내가 되어 거리를 가면
거리도 새로운 모습을 한다. 

지난날의 쓰라림과 괴로움은
오늘의 쓰라림과 괴로움이 아니오
내일도 기쁨과 슬픔이 수놓겠지만
그것은 생활의 律調일 따름이다. 

흰 눈같이 맑아진 내 意識은
理性의 햇발을 받아 번쩍이고
내 深呼吸한 가슴엔 사랑이
뜨거운 새 피로 용솟음친다.

꿈은 나의 忠直과 一致하여
나의 줄기찬 勞動力은 고독을 쫓고
하늘을 우러러 소박한 믿음을 가져
기도는 나의 日課의 처음과 끝이다. 

이제 새로운 내가
서슴없이 맞는 새해
나의 生涯 최고의 성실로서
꽃피울 새해여!

문 현 미 시인
문 현 미 시인

누구나 간절한 바람으로 새해를 맞는다. 힘든 사람은 고통이 속히 끝나기를 바라고, 그렇지 않은 사람은 지금 상태 그대로 유지되기를 바란다. 인간은 나약한 존재이기에 늘 염원을 하게 된다. 영하의 추위 속에서 이른 새벽 해돋이를 가는 사람들의 마음이 그러하다. 누구는 높은 산에 올라 일출을 바라보고, 누구는 바닷가에서 수평선 너머 떠 오르는 붉은 태양을 바라본다. 어디서든지 간절한 바람으로 새해 맞이를 한다. 모두 행복의 꽃이 피는 새해를 보내고 싶어 희구할 것이다. 

시인은 한해를 맞이하며 시의 제목을「새해」로 선택했다. 첫 연부터 의미심장한 각오가 서려 있다.“내가 새로워지지 않으면/새해를 새해로 맞을 수 없다.”새해를 맞기 전에 취해야 할 자세가 단호하다. 이어지는 연에서 그 이유를 밝히고 있다. 새로워진 나로 인해 이웃이 “새로워진 얼굴”을 하게 되고,“거리도 새로운 모습”이 된다는 거다. 어떻게 하면 새로워질 수 있을까. 스스로 질문을 던진다. 새로운 나를 찾는다는 게 결코 쉬운 일은 아니기 때문이다. 새해를 맞이하면서 송구영신 예배를 드렸고, 다음날 신년 감사예배를 드렸다. 그리고 신년영성수련집회에 참가도 하였다. 얼마 만큼 내가 새로워졌을까. 그것은 지극히 은밀한 가운데 이루어지는 영역이다. 오직 천지를 창조하신 여호와 하나님만이 알 수 있을 것이다. 

4연에서 시적 화자는 기쁨과 슬픔이 되풀이되는 일상을“생활의 律調”라고 한다. 즉 늘 기쁠 수도 없고, 늘 슬플 수도 없는 게 인생이라는 것이다. 다만 그런 인생 속에서 내가 새로워지면 어마어마한 일이 일어난다고 고백한다. 의식이“흰 눈 같이 맑아”져서 이성이 번쩍이게 되고,“가슴엔 사랑이 뜨거운 새 피로 용솟음친다”는 것이다. 여기서 다시 새로워질 수 있는 방법이 궁금해진다. 그 해법이 다음 표현에 명징하게 나와 있다.“기도는 나의 日課의 처음과 끝이다.”기도가 바로 새로운 나를 만나는 열쇠이다. 잠잠히 주님만 바라보며 말씀과 기도로 임할 때 그런 축복이 주어진다. “生涯 최고의 성실로서”새해를 마음껏 꽃피우시기를 응원해 본다.                                             

백석대 교수

저작권자 © 기독교한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