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준상 목사
◆어머니와 자녀와의 사회성…아버지와 어머니는 공동으로 자녀를 양육한다. 하지만 인간이 태어나서 처음 만나는 사람은 어머니이다. 또한 자녀를 양육하는데 있어서도 아버지 보다도 어머니가 자녀와 함께 보내는 시간이 많다. 따라서 자녀와의 상호관계에 있어서도 아버지보다도 어머니가 그 유형이 많다. 특히 인간의 존재로서 가장 편안하고, 행복했던 시기는 어머니의 뱃속에서의 10개월이다. 이것은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에 잘 나타나 있다. 때문에 어머니의 탯줄은 생명을 이어주는 태이며, 가장 소중한 것이다.

또한 아버지의 애착은 어머니의 애착보다도 자녀에게 미친는 영향이 떨어진다. 나이를 먹을수록 아버지에 대한 애착은 약화되고, 어머니에 대한 애착은 증가한다. 때문에 어머니를 생명이고, 사랑이고, 행복이라고 말한다. 어머니가 없는 가정은 구심점이 없어져 가족들의 우애, 모임 등이 없어지고, 구심점이 장모가 있는 처갓집으로 바꾸어진다.

또 어머니가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은 온정적이고, 허용적일 때 자녀는 활동적이며, 창의성이 높고 독립적이다. 사회활동에 있어서도 단호한 태도를 갖는다. 적대적이고 통계적일 때는. 자녀는 계산적이고 사회적으로 위축되어 내면적 갈등이 구체적이다. 때문에 어머니의 마음가짐은 자녀들의 사회활동과 성격에 큰 영향을 준다.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애착…사회학습이론에서는 1차적인 욕구충족과 2차적인 교육강화에 지위를 획득하여 아이는 어머니의 존재만으로도 만족하게 되고, 어머니의 접촉을 통해 애착을 발달시킨다. 부모중에는 특히 어머니가 자녀들에게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다.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애정적인 태도는 자녀의 사회성 발달 특성에 중요한 영향을 주고, 특히 책임성, 자재성, 사교성을 높여 줄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을 한다. 적대적인 태도는 자녀들의 사회성 발달의 저해 요인으로 보고 있다. 때문에 아동학자들은 어머니가 자녀를 태속에 가지고 있을 때부터 마음가짐을 잘 해야 한다고 주문하는 것이다.

◆정리와 연구를 위한 문제…성경은 나라, 국가, 민족 등을 상징적으로 표현할 때 어머니라는 말을 쓴 의미를 생각해 보자. 호 2:2-5, 겔 19:2, 10, 사 50:1, 66:7, 시 87:5, 갈 4:26 등. 어머니를 연구하는 것이 한민족사 전체 연구 일정에 어떠한 함수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인지. 문명한 것은 어머니의 존재가 그 만큼 중요하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는 것이다. 이스라엘 민족이 유태인을 규정지을 때, 어머니가 유태인이면, 자녀들도 유태인으로 규정짓는 것만 보아도, 성서는 어머니의 소중함을 일깨워주고 있다. 또 유태인들은 어려움에 처했을 때마다 ‘어머니의 나라’라고 말하며, 고향을 그리워했다.

‘엄마’의 어원은 무엇이며, 어머니가 하는 일은 무엇이며, 그와 관련되어 어머니에 대한 성경의 가르침은 무엇인가? 지금까지의 컬럼을 통해 말해 왔다. 그것은 어머니를 어느 때 찾게 되는 것인지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사실 어려울 때나, 기쁠 때, 출세했을 때 등 동무들이 있는 고향, 어머니가 있는 고향, 나를 있게 해 준 고향을 찾았다. 일본제국주의 아래서 신음하던 백성들이 고향과 어머니의 품을 떠나 만주벌판을 유리방황할 때, 우리민족은 출세하여 고향에 돌아가기를 간절히 바랬다. 그리고 자녀들에게 죽은 후 고향에 묻어 줄 것을 유언으로 남겼다. 그만큼 어머니의 고향을 그리워했던 것이다.

△어머니와 관련된 연구자료 및 저서는 수없이 많다. 권태원 <고대민족문화연구> 일조각 2000 △김청도 <역해 천부경·삼일신고·참전제> 고대원출판사 1993 △김향수 <일본은 한국이더라> 문학수첩 1995 △민주어음운론연구> 명지대학출판부 1981 △손진태 외 <조선민족 문화의 연구> 1948 △카아 <역사란 무엇인가> 범우사 1977 △밈혜상 <중국민족사> 대만상무서관 1996 △박명식 <한국상고사> 최봉렬옮김 교보문고 1994 △다물민족연구소편 <요해 한민족의 비서>도서출판 다물 1993 등이다.

한민족세계훈련원 원장

 

저작권자 © 기독교한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