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론적 입장에서의 한민족 족보

▲ 조준상목사
성서에 나타난 족보들의 특징을 기초로 한민족 족보의 특징과 항렬 등을 대상으로 한 가계론적인 입장에서의 족보는 이름의 유래, 이름의 법칙, 족보의 파에 대한 유래, 족보 본관의 유래 등 4가지의 특징이 있다.
 ◆항렬의 가계론적 구조…항렬, 이름의 유래는 한자의 의미와 항렬에 따라 이름을 짓는다. 즉 혈족사이의 상하관계와 좌우관계를 표시하기 위해 항렬에 따라 이름을 짓는다. 이것은 씨족의 질서를 세우고, 나아가 사회적인 질서와 국가적인 질서를 세우는데 매우 중요하며, 기본이 된다.
 ◆항렬, 이름의 다섯가지 법칙…띠로 풀어짓는 경우, 자, 축, 임,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 등 12단위, 문자로 풀어짓는 경우,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등 10단위, 음양오행설로 짓는 경우(평양 조씨), 금, 수, 목, 화, 토 등 5단위, 삼단위로 짓는 경우(한산 이씨) 목, 토, 수 등, 숫자풀이로 짓는 경우, 1,2, 3, 4, 5, 6, 7, 8, 9, 10.
 ◆족보 ‘파’의 유래… 종파란 지파에 대한 종가의 계통을 말한다. 종파로부터 자기가 갈리어 나온 계통을 파속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직한인 경우 : 좌의 정공파, 판서공파, 정량공파 △시호인 경우 : 문정공파, 충정공파, 충무공파 △아호인 경우 : 청계공파, 휴은공파 △세거지명인 경우 : 개성파, 경주파 △봉군지명인 경우 : 계림군파, 김녕군파, 김해군파.
 ◆족보 본관의 유래…출세나 임직에 의하여, 옛날에는 나라의 공을 세운 사람에게 ‘백’, ‘군’이라는 이름을 붙여주었다. 그러면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그가 태어난 ‘출생지나’, ‘정착지’의 지병을 따라 본관이 정해졌다. 본관을 정한 이유는 △조상이 받늠 영화나 업적을 자연스럽게 여김 △그의 위업을 계승하고 △다른 성씨와 구별하는 근거를 위해서.
 
 족보와 성씨의 가계론적 구조  

 정씨는 씨족, 백성과 민족의 뿌리이다. 이름 앞에 붙이는 것을 ‘성’ 또는 ‘성씨’라고 한다. 이를테면 김, 이, 박 같은 것이다. 우리말 사전에는 성씨를 ‘성을 높여서 부를 때 말한다’라고 풀이하며, 성과 성씨의 뜻을 하나로 보고 있다. 그러나 중국 주나라 때의 성씨 제도를 보면 성과 씨를 분명히 구분하고 있다.
 중국의 옛문헌 <통지>의 씨족락사에는 하, 상, 주 3대 이전에 성과 씨를 분리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즉, “남자는 씨를 칭하고, 여자는 성을 칭하고, 씨로서 귀찬을 구분하고 성으로써 혼란을 분간케 하였다”라고 하였다. 이를 통해 씨는 남자에게만 붙이되, 존칭으로 사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위의 설명은 우리나라에서 흔히 말하는 성과 성씨의 어원이 중국과는 다름을 알 수 있다.
 성이라는 즐자를 파자해 보면, 좀더 뜻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여와 생이 합해진 것이 성이란 글자인데, 글자대로 해석하면 ‘여자가 무엇을 낳는다’라는 뜻이 된다. 여자는 아이를 낳는다는 뜻을 갖고 있다. 한편 씨는 남성에게만 사용된 글자임은 중국의 여러 문헌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논사 짓는 법을 가르쳤다는 신농은 ‘씨’를 붙여서 ‘신농씨’라 불렀고, 목축을 가르쳤다는 복희 역시 씨를 붙여서 ‘복희씨’라 줄렀다는 기록이 있다. 그런데 그들은 모두 남자였다. 또 최초로 중국을 한족의 국가로 통일하였다는 황제의 이름 역시 ‘현원씨’이다. 오늘날도 주로 남자의 이름에 씨를 붙여쓰고 있는 것은 이런 고대의 통설에서 내려온 관례에 따른 것이 아닌가 싶다./사단법인 한민족세계선교훈련원 이사장

저작권자 © 기독교한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