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베드로목사.

정부의 강도 높은 교회 때리기가 논란을 빚고 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가 ‘교회의 정규예배 이외의 각종 모임과 행사, 식사 제공 등이 금지되고 출입명부 관리도 의무화 한다’는 행정조치를 내림에 따라 한국교회의 볼멘소리가 끊이지 않고 있다. 더욱이 ‘방역수칙을 위반할 경우, 교회 관계자뿐만 아니라 이용자에게도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는 규제는 한국교회를 향한 겁박이자 협박으로까지 들린다.

솔직히 그동안 한국교회는 누구보다, 어느 기관보다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해 왔다. 정부가 굳이 행정조치까지 내려가면서 규제를 하려고 하지 않아도, 스스로 철두철미하게 방역지침을 준수하고, 솔선수범의 자세를 보여줬다. 저마다 성도들의 발열체크를 비롯해 장소마다 손소독제 등을 비치해 감염의 통로를 막았고, 예배당 안에서도 사회적 거리두기가 유지되도록 강대상에 스티커를 붙여 활용했다. 또한 고령의 성도들이나 아이들 등은 유튜브 등을 통해 온라인으로 예배를 드리도록 권면했고, 각종 모임 등도 최소화하거나 아예 중단시켰다. 각 교회별로 예배가 끝난 후 식사를 함께 하는 것을 중단한 지도 꾀된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각 교단과 단체에서도 소속 교회들이 따를 수 있도록 모범방침을 내놓아 지키도록 했고,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예배 형식을 공유하기도 했다. 해마다 전개했던 각종 대형집회나 예배 등도 일정을 미루거나, 아예 다음해를 기약하도록 했다. 혹여나 교회가 감염의 온상이 되지 않도록 스스로 인내하고, 정부에 최대한 협조해 온 것이다. 오죽하면 정부가 교회의 노력에 대해서 칭찬을 아끼지 않았었다.

하지만 이번 중대본의 어이없는 교회 규제는 지금까지의 교회의 노력을 모두 허사로 만들어버린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오히려 그러한 노력들은 모른 척 하고, 모든 책임을 교회에게 뒤집어씌우는 느낌이다. 그러지 않고서는 말하지 않아도 이미 잘 지키고 있는 것들을 문제 삼아 교회는 물론, 성도들에게까지 벌금을 물리겠다는 것은 ‘교회 때리기’로밖에 보이지 않는다.

이는 최근 절이나 성당 등에서 코로나19 확진자들이 무더기로 나와서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유독 ‘교회’라고 특정해 규제에 들어간 것만 봐도 쉽게 알 수 있다. 백번 양보해서 중대본의 주장이 설득력을 가지려면 최소한 ‘교회’가 아닌 ‘종교’라는 단어를 사용했어야 했다. 그럼에도 ‘교회’를 특정했다는 것은 도무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 이는 곧 종교간 분열과 갈등을 조장하는 것이며, 국가가 나서서 차별을 조장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더욱이 규제의 형태도 이해할 수 없다. 같이 식사를 하지 못하게 하고, 예배를 제외한 모든 모임을 중단하라는 것은 기독교를 아예 인정하지 않겠다는 것으로밖에 들리지 않는다. 아니 기독교를 전혀 이해하지 못한 졸속한 행정이다. 그렇다면 매일 함께 구내식당에서 밥을 먹고, 회의를 핑계로 모임을 갖는 일반 사회의 형태는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그러한 사회의 모습은 괜찮고, 교회만 코로나19에 취약하다는 논리는 결코 용납할 수 없다.

따라서 중대본의 편협한 이번 조치는 즉각 철회되어야 한다. 단 한 번의 대화나 협조도 요청하지 않고, 윽박지르기식 규제는 아무런 유익이 없다. 정부는 더 이상 교회를 감염의 온상으로 보지 말고, 위기에 처한 나라와 민족의 회복을 위해 헌신하는 동반자로 인식해야 한다. 정부와 교회가 함께 공동의 목표를 향해 갈 때 비로소 이 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 나라와 민족이 어려움에 처할 때마다 불처럼 뜨겁게 스스로를 태웠던 기독교의 노력을 잊지 않길 소원한다.

저작권자 © 기독교한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