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대 대통령에게 세대와 지역, 이념을 아우르는 국민대통합의 숙제가 주어졌다.
국민과의 약속 지키고, 대화와 타협 통해 하나됨이 중요
바른 역사의식으로 남북통일의 초석을 놓는 원년 삼아야

다사다난했던 2012년이 지나고 희망찬 2013년 새아침이 밝았다. 칠흑 같은 장막의 어둠을 걷어내고 장렬한 태양이 용솟음 쳤다. 새로운 꿈과 희망을 바라는 아침, 한국교회도 화합과 일치의 한 해를 꿈꿔본다. 분열과 갈등의 역사를 되풀이하지 않고, 하나로 합쳐지는 원년이 되길 간절히 바란다. 특히 새로운 대통령의 임기가 시작되는 해로, 진보와 보수의 다툼이 아닌 어울림, 지역감정이 없는 국민대통합을 이루는 해가 되길 기원해 본다.

18대 대선으로 사회 양극화 심화

2012년 12월 19일. 한 해를 마무리하는 순간, 국가의 가장 큰 행사인 대통령선거가 있던 날. 정권교체를 염원하는 바람과 정권을 유지하겠다는 바람이 맞붙은 날이다. 진보의 장수였던 문재인 후보(민주통합당)와 보수의 장군이었던 박근혜 후보(새누리당)가 한 치의 양보 없이 격전을 벌였던 날이다. 이 나라 온 국민이 맘 졸이며 순간순간을 지켜봤던 그날, 대한민국의 앞으로 5년을 가늠 짓는 그날. 결과는 1천5백7십7만3천128를 득표해 전체 51.6%를 차지한 박근혜 후보가 1천4백6십9만2천632를 얻어 전체의 48%를 득표한데 그친 문재인 후보를 재치고, 대통령 당선인이 됐다.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 대통령이 탄생한 순간이다.
당초 박빙이 될 것이란 전망과 달리, 두 후보 간 경쟁은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3% 이상 차이가 나면서 쉽게 갈렸다. 이미 투표마감 직후 실시한 출구조사에서 문 후보는 박 당선인에게 밀렸다. 본격적으로 개표가 이뤄진 후에는 단 한 차례도 역전하지 못한 채 일방적 싸움으로 끝이 났다. 오히려 두 후보 간 표 차이는 시간이 지날수록 격차를 보였고, 일찌감치 박 당선인은 차기 대통령 당선인으로서 소감발표를 준비할 정도였다.
안타까운 점은 18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지역감정은 여전했다. 대구와 울산, 부산 등을 포함한 경상남북도에서는 박 당선인이 붉은 깃발로 물들였고, 광주를 포함한 전라남북도에서는 문 후보가 녹색 깃발을 펄럭였다. 또한 민심을 알 수 없다는 충청권에서도 박 당선인이 지지를 얻었고, 강원권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반면 문 후보는 서울에서 지지층을 대거 확보했다. 그러나 선거 때마다 나타난 강남권 보수집권은 여전했다. 잘사는 사람은 박 후보를, 못사는 사람은 문 후보를 찍었다는 우스갯소리가 현실이 됐다. 결국 이번 대통령 선거에서 국민대통합은 이뤄지지 않았다. 지역감정과 진보와 보수의 경계선, 빈부의 생각차이만 더욱 명확하게 그은 선거였다.
이러한 현상은 한국교회 안에서도 그대로 재현됐다.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한국교회에서도 진보와 보수의 첨예한 대립이 이어졌다. 각종 기도회나 집회, 세미나 등을 열어 서로 자신들이 지지하는 후보가 대통령으로 선출되기를 기원했다. 여기까지는 괜찮았다. 하지만 서로의 주장만을 내세워 상대후보들을 비방하는 수준으로 전락했다. 온갖 비방마저 난무했다. 서로 헐뜯고, 비아냥거리기에 바빴다. 따라서 일각에서는 한국교회가 권력에 얽매여 본연의 임무를 망각하고 있다는 지적까지 했다.
실제로 한국교회는 대선과 관련한 각종 기도회와 세미나 등을 정당화시키며, 기독교와 정치권 사이의 연결고리가 ‘끄덕’ 없다는 데에 자존감을 느꼈다. 단순한 정치참여의 수준을 넘어서 극성수준의 정치권 줄대기 행태를 보이기도 했다. 일부 지역에서는 130여명이 넘는 목회자들이 공동으로 특정후보를 지지한다는 선언을 하기도 했고, 몇몇 목회자들은 콩고물이 떨어지기라도 바라는 마음에서 스스로 선거운동의 전방에 서기도 했다. 이번 기회에 선거판에 이름을 알려 특정정당에서 기독교담당을 꿰차보겠다는 목회자도 있었다. 특별히 관계도 없는 행사에 특정정당의 인사들이 참가하는가 하면, 과시용으로 특정정당 인사들이 찾아온 것을 뽐내기도 했다. 국가의 앞날을 걱정하기보다 어떻게 하면 자신들에게 유리한 대통령을 뽑을 지에만 관심을 뒀다. 결국 국민대통합이나 진보와 보수의 화합의 모습은 찾아볼 수 없었다. 오히려 양극화현상만 더욱 심해졌다.

국민대통합 이루기 위한 노력 절실

어찌됐든 새로운 대통령으로 박근혜 후보가 당선됐다. 이제는 박근혜 당선인이 국민대통합에 앞장서는 모습을 보이길 기대할 수밖에 없다. 박근혜 당선인도 후보시절의 자세를 잃지 말고, 국민의 염원을 겸허히 경청하면서 국민을 섬기는 대통령이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선거 과정에서 행한 공약은 국민과의 약속이라는 점을 가슴 속 깊이 생각하고, 성실하게 준수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 국민과의 약속을 헌신짝 버리듯이 가벼이 여기지 말고, 하나하나 지켜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와 관련 한국교회 각 연합단체에서도 박근혜 당선인을 향해 거는 기대와 우려가 가득하다. 저마다 바라는 마음도 제각각이다. 하지만 국민과의 약속을 성실하게 이행하고, 국민대통합과 사회양극화를 해결해달라는 입장은 똑같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의 경우 박 당선인이 계층과 지역, 세대를 하나로 아우르는 국민화합에 힘써주길 기대했다.
교회협은 “이번 선거에서도 계층간, 지역간, 세대간 편은 여실하게 둘로 갈리었다. 하나란 생각보다 이념에 따른 갈라짐이 확연했다. 따라서 박 당선인은 모든 국민이 하나 될 수 있도록 국민화합에 전념해야 한다. 모든 일에 있어 국민을 먼저 생각하고, 민주적 절차에 따라 행동해야 한다. 우리 사회에 산적한 현안들을 서둘러 처리하되, 최대한 민의를 수렴하고 민주적 절차를 충실히 지켜나가야 한다. 공평하고 객관적인 인사를 통해 가장 적합한 인재를 등용하기 바란다. 인사가 선거 과정의 논공행상을 다투는 장이 되지 않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한국교회연합은 국민과의 약속 지키려 노력하는 모습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교연은 “박근혜 당선인은 대한민국의 미래를 짊어져야 할 막중한 책임을 안고 있다. 박 당선인은 선거과정에서 내건 공약을 지키기 위해 막대한 세금이 필요할지도 모르지만, 지도자라면 무엇보다 국민과의 약속을 반드시 지키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 대통령 선거과정에서 우리 국민들은 서로 지지하는 후보를 놓고 또다시 양분됐다. 새로 취임하는 박 당선인의 최우선 과제는 우리 사회를 대통합하는 일이다. 서로 생각이 다르고 정치 노선이 다르더라도 상대를 존중하고, 대화와 타협을 통해 큰 정치를 펴는 대통령이 되기를 간절히 바란다”고 밝혔다.
한국장로교총연합회는 바른 역사의식으로 남북통일의 초석을 놓는 대통령 되길 기원했다.
한장총은 “박근혜 당선인에게 바라는 것은 바른 역사의식을 갖고, 독립 및 건국이념과 안보·민주화·경제성장의 주역을 존중하는 것이다. 국방을 튼튼히 하고, 공권력의 권위를 지켜주길 바란다. 소외된 자의 작은 목소리도 경청하고, 애국 애족의 분명한 철학으로 민족의 자랑스러운 역사를 잘 지키기 바란다. 편견 없이 보수, 진보의 다름을 인정하고, 조화롭게 품기 바란다. 생명을 경시하고 자유민주주의를 부정하는 이들에게는 사랑의 동기에서 과감히 권위를 행사하기 바란다. 문화, 사상, 경제, 복지에서 균형을 이루고 남북통일의 초석을 놓는 대통령이 되기 바란다”고 요청했다.
이처럼 사회뿐 아니라, 한국교회 안에서도 국민대통합과 진보와 보수의 서로 감싸기, 대화와 타협에 따른 상대 존중 등 분열과 갈등의 모습을 탈피해 화합과 일치로 거듭나는 대한민국이 되길 바라고 있다. 그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 박근혜 당선인이 열쇠를 쥐고 있다는 점도 인식하고 있다. 작금의 대한민국은 보수와 진보의 대립각으로 혼란한 상태이며, 세대 간 격차도 상상이상이다. 지역 간의 대립은 말할 것도 없는 지경이다. 사태가 이러니 새로운 대통령에게 거는 기대가 남다른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나라가 새롭게 거듭나기 위해서는 누군가 한 명의 힘으로는 이루기 힘들다. 불가능에 가깝다.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저마다 뼈를 깎는 노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진보가 졌네, 보수가 이겼네, 이런 논쟁은 의미가 없다. 이제는 어떻게 서로를 껴안고 갈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한다. 서로 헐뜯지 말고, 인정해야 한다. 세대 간 차이도 조금씩만 양보해 서로를 이해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무엇보다 이러한 노력에 한국교회가 앞장서야 한다. 한국교회가 먼저 분열과 갈등에서 벗어나 화합과 일치의 모습을 선행해야 한다. 한국교회가 바로 설 때 비로소 대한민국이 바로 설 수 있다는 점을 아로새겨야 한다.

저작권자 © 기독교한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