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갤럽이 1984년부터 2014년까지 30년간 한국인의 종교 실태 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꾸준히 늘던 종교인 비율은 10년 전에 비해 감소했고, 종교에 관심 없다는 응답은 더욱 증가했다. 기독교인 비율은 21%로, 전과 크게 다르지 않지만 불교와 천주교에 비해 비종교인들에게 가장 비호감인 것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기독교인들의 개인 생활에서 차지하는 종교의 비중은 타 종교인들에 비해 매우 높았고 예배 등 종교 의례 참여도가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호감도 1위에 손꼽힌 불교는 일주일에 한 번 이상 정기적으로 절에 가는 신자가 6%인데 반해, 기독교인은 80%가 일주일에 한 번 이상 교회를 간다고 응답했고, 헌금도 십일조를 하고 있다는 응답이 68%로 천주교 36%에 두 배 가까이 많았다.

기독교인들이 종교 생활에 열심인데도 호감도가 타 종교에 뒤떨어지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 그것은 남이야 어떻든 나만 믿고 구원받으면 그만이라는 독선적인 태도 탓이다. 한국교회사에서 사회적 구원에 대한 책임감 보다 개인구원을 강조하는 교회가 외형적으로 더 많이 부흥 성장한 것을 볼 수 있다. 종교의 목적이 영혼 구원이기 때문에 개개인의 믿음을 강조한 만큼의 사회적 책임인식이 덜했던 탓이다.

기독교인을 비롯해 종교인 비율이 감소하고 있는 것은 사회 변화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생활수준이 높아진 소위 선진국병에 우리도 감염된 것이다. 먹고 사는 문제가 해결된 이후에 사람들의 관심이 대중문화, 레저 스포츠, 여행 등 ‘웰빙’의 문제로 옮겨가고 분산되면서 자연 종교에 대한 관심이 떨어지고 있는 것이다. 통계에 따르면 개인이 번영할수록 종교적인 성향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난다.

비종교인들이 기독교에 대해 가장 낮은 호감을 나타내고 있는 것은 분명 심각한 문제이다. 2004년과 2014년을 비교할 때, 불교에 대한 호감도는 37%에서 25%, 천주교는 17%에서 18%, 개신교는 12%에서 10%의 수치를 보였다. 천주교만 상승했을 뿐 불교와 기독교가 동반 하락했다. 불교에 비해 기독교에 대한 호감도가 상대적으로 덜 떨어진 것은 반대로 그만큼 희망적이라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열심을 다하는 교인이 많은데도 사회적 공신력 때문에 개신교에 대한 호감 지수가 낮아지는 것은 더욱 심각한 문제이다. 그 열심이 오로지 자기 자신을 위한 이기적 열정으로 비치기 때문에 나랑은 상관없는 ‘당신들만의 천국’은 한 마디로 “NO”인 것이다. 말뿐인 믿음과 신앙을 가장한 열심 하나만으로는 세상은 물론 제 몸 하나 구할 수 없다. 그 믿음에 생명이 있어서 내가 변화되어야 세상도 바뀌게 된다.

앞으로도 기독교에 대한 호감도는 계속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목회자 또는 교인들이 비도덕적이고 부정적인 일들로 자주 대중들에게 노출되기 때문이다. 기독교가 타 종교에 비해 언론에 노출되는 빈도가 잦은 것은 그만큼 안 좋은 모습으로 비춰지고 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교단의 난립으로 무자격 목사를 양산해 냄으로써 너도 나도 목사로 불리는 사람들이 저지르는 비양심 비윤리적 행동에 대해 한국교회가 책임있는 대안을 내놓지 못하는 한 기독교에 대한 일반의 여론과 기대감은 갈수록 하향곡선을 그리게 될 것이 자명하다.

저작권자 © 기독교한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