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 태 영 목사
삼손은 헤라클레스처럼 괴력을 지닌 장수이다. 이스라엘을 괴롭힌 블레셋의 목을 비튼 영웅이다. 하지만 그의 사생활은 모범적이지가 않았다. 부모의 말도 안 듣고, 사람 패죽이기를 예사로 하며 불량배로 살았다. 억센 힘 빼고는 배울 게 없는 자이다. 그럼에도 그가 주목의 대상이 된 것은, 이스라엘을 위해 하나님께 나실인으로 바쳐진 인물이기 때문이다. 그가 불량 청소년처럼 살기는 했지만, 하나님께서는 그를 통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이 있었다. 물론 그가 자신이 지닌 괴력을 세련되게 사용하지는 못했지만, 그가 지닌 괴력만큼은 당시 이스라엘의 블레셋에 대한 열패감을 회복하고도 남았다. 그럼에도 설화자는 삼손을 무한정 옹호하지 않는다. 그가 괴력을 쓸 때마다 설화자는 “여호와의 신에게 크게 감동되어”(삿 14:6) 라는 말을 되풀이는 데, 이는 삼손이 자연인으로서 괴력을 지닌 게 아니라, 필요할 때마다 하나님께서 주시는 힘이라는 논법이다.

삼손이 하룻밤 욕정으로 인해 온 몸이 묶인 상태로 블레셋 사람들에게 끌려나오는 신세가 되었을 때, 블레셋 사람들은 “우리의 신이 우리 원수 삼손을 우리 손에 붙였다”(삿 16:23-25)라고 환호작약한다. 이스라엘로서는 그보다 더한 치욕도 없을 터이지만, 중요한 것은 블레셋이 섬기는 다곤 신과 이스라엘 공동체가 섬기는 야훼 하나님과의 대결에서 지금 이스라엘의 신이 블레셋의 신에게 포박되어서 머리칼이 잘리고, 눈이 뽑히고, 맷돌을 가는 신세가 되어 있다는 점이다. 야훼 하나님이 다곤 신의 제물로 바쳐지기 위해 신전 기둥에 묶여 있는 신세가 되었다. 그럼 야훼께서 패하신 것인가? 아니다. 설화자는 야훼 하나님의 최후 승리를 이렇게 전한다. “삼손이 죽을 때에 죽인 자가 살았을 때에 죽인 자보다 더욱 많았더라.”

삼손이 지닌 괴력은 그의 머리카락에 있었던 게 아니다. 삼손의 머리카락은 하나님과의 인격적인 관계의 상징이기도 하다. 그런 그가 하나님과의 관계를 드릴와의 관계로 대치했을 때 괴력도 사라졌다. 삼손만이 아니다. 우리 역시 하나님과의 관계를 다른 무엇과 대치하는 순간 세상을 희망으로 사는 능력은 사라진다. 그 빈자리에 무기력과 좌절과 무의미, 원망과 분노가 달라붙는다. 오늘의 한국교회는 어떤가? 하나님과의 관계는 이미 돈으로 대체되어 있으면서, 허울뿐인 머리카락만 길게 늘어뜨리고 있는 게 아닌지.

삼일교회 담임

저작권자 © 기독교한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