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총선이 다가오면서, 기독교정당과 기독교인, 그리고 국민들 사이에 ‘정교분리정책’을 둘러싼 논쟁이 뜨겁게 달궈지고 있다. 정교분리정책은 미국 3대 대통령 토마스 재퍼슨이 종교를 보호하기 위해서 내세운 정책임에 틀림없다. 내용은 정치가 교회의 활동에 간여하지 말 것, 교회에 세금을 부과하지 말 것, 정치는 교회에 해가 되는 법을 만들지 말 것 등을 주요골자로 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의 정교분리정책은 일본제국주의 아래서, 일본 식민지세력과 지배세력을 정당화 해 주기 위해서 선교사들에 의해서 주창됐다.

정교분리정책을 내세운 영미선교사들은 한국의 백성들을 향해 추상적인 ‘회개’와 ‘영적구원’을 외치며, ‘심령대부흥회’ 등을 개최하며, 한국인의 독립운동과 민족운동을 철저하게 막았다. 선교사들은 알게 모르게 서양의 팽창주의와 일본식민지세력에게 협조했다. 선교사들은 한국에 들어와 19세기의 서양 자본주의와 자유주의의 문화를 대변했다. 또 여기에 배경을 두고 성장했다.

이것은 한국교회가 서양의 기독교 선교와 결탁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대목이다. 일부에서 민족교회의 움직임도 있었지만, 그것은 식민지 세력과 정교분리를 주창한 선교사에 의해서 뜻을 이루지 못했다. 한마디로 일제치하의 정교분리정책은 한국인의 의식화와 민족운동, 독립운동을 철저하게 막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된 것이다.

한마디로 서양의 팽창주의와 일본의 식민지세력의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지면서, 선교사들은 정교분리정책을 내세워 한국인의 일본식민지세력을 향한 한국인의 민족운동을 철저하게 막았다. 선교사들이 105인 사건이나, 3.1만세운동 등의 민족운동과 독립운동에 대해서 침묵한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오히려 영미의 선교사들은 비폭력독립운동을 전개한 한국인들을 폭도로 매도하며, 기독교인에 의한 독립운동이 아니라고 평가 절하하기에 바빴다.

3.1운동 이전의 선교사들은 조선의 백성을 돼지보다도 더럽고 미개한 백성으로 취급한 반면, 일본에 대해서는 “선진국으로 우리 선교사들이 적극 도와야 할 나라임”을 자국에 보낸 선교보고서에서 밝히고 있다. 또한 알렌을 비롯한 언더우드 등 영미 선교사들은 자국민과 자국의 이익을 위해 장사하기에 바빴다는 점이다.

분명 영미선교사들의 한국선교는 봉건사회 극복과 서양의 민주적 이념교육, 남녀 성차별 극복, 사회봉사에 결정적인 계기를 가져다가 주었다. 이것은 가난한 한국민족에게 필요했다. 그러나 이것이 서양 침략세력의 이데올로기적 수단이었다는 사실과 이에 결부되어 전래되었다는 것을 망각하고 있다는 것이다.

한마디로 기독교의 한국선교는 민족의 자주적인 봉건체제의 극복과 근대화의 잠재력을 꺾어버린 침략세력들의 정신적 지주의 역할을 감당했다. 이에 대한 비판 없이 보수적인 한국교회는, 서양의 자본주의와 식민주의의 이데올로기적인 신앙과 신학이 최고인 것처럼 선교초기부터 지금까지 포장하는데 급급했다. 또 분열과 갈등을 일삼으며, 민족의 아픔을 외면해 왔다.

오늘 한국교회가 4.13총선을 앞두고, 정교분리의 원칙에 발목을 잡혀 기독교정치세력화에 고전하며, 이를 이해시키는데 갑절의 힘을 쏟고 있는 이유가 바로 선교사들이 한국인의 아픔을 몰각하고, 일본의 식민지세력과 결탁한 정교분리원칙 때문이다.

선교사들의 이러한 태도에도 불구하고 한국교회의 일부 목사와 가난한 교인들은 조선의 독립과 외세를 몰아내기 위해 행동했다. 한국교회의 독립운동은 가난한 기독여성과 가난한 기독농민, 기독학생들에 의해서 자각되었다.

이 정교분리정책은 해방이후 박정희 대통령 당시 기독교의 민주화운동과 인권운동 등을 차단하기 위한 방법으로 또 한 번 이용됐다. 이런 과정을 통해 정교분리정책이 머리에 박힌 한국교회의 지도자와 교인들의 입에서 기독교인의 정치참여와 기독교정치세력화가 쉽게 나올 리 만무다.

정교분리정책은 분명 오늘 한국교회가 정치적인 불의 앞에 굴복하는 결과를 가져다가 주었다. 권력의 주변을 맴돌며, 온갖 혜택을 누리는 결과를 낳았다. 또한 이것은 오늘 기독교의 정치세력화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해방이후 기독교가 민주화와 인권운동에 침묵하는 결과를 불러 일으켰다.

저작권자 © 기독교한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