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기총) 회원 단체였던 ‘세계복음화전도협회(전도협회)’가 우여곡절 속에 자진 탈퇴를 하면서 한국교회연합(한교연)과의 통합에 파란불이 들어온 것처럼 보였으나, 여전히 빨간불이다.

통합의 주체자인 한교연 산하 바수위에서 ‘전도협회’와는 관계없이 기하성 교단 소속의 목회자 등을 대상으로 이단연루 조사 및 연구에 들어가기로 결의함에 따라, ‘전도협회’의 자진탈퇴가 한기총과 한교연 통합에 생각한 것보다 별다른 묘수가 되지 못했다.

오히려 전도협회가 “한국교회 통합의 마중물이 되기 위해 기꺼이 한기총을 탈퇴하겠다”는 결단으로 모든 것을 뒤집어썼지만, 탈퇴한 시기가 마치 한기총에서 행정보류라는 카드를 꺼내들었기 때문인 것처럼 오해받기 십상이다. 물론 이영훈 대표회장이 “한국교회 하나됨을 위한 류광수 목사의 결단에 감사를 드린다”며 연신 경의를 표했지만, 각종 언론에 대서특필되면서까지 대외적으로 ‘행정보류’를 당한 것처럼 인식된 전도협회로서는 그렇게 끝내기에는 다소 아쉬운 부분이 크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누구보다 전도협회를 감싸 안아줘야 할 예장 개혁총회(총회장 최정웅 목사)가 도대체 왜 침묵으로 일관하는지 반문하고 있다. 전도협회가 스스로 탈퇴한 아름다운(?) 모습을 선택했지만, 그 과정 가운데 받은 상처가 큰데 어떻게 교단이 침묵으로만 대처할 수 있냐는 지적이다. 적어도 모두의 이목이 집중된 실행위원회 현장에서만큼은 제 목소리를 냈어야 했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실질적으로 한기총 실행위가 열린 10일 개혁총회에 쏠린 관심은 어느 때보다도 컸다. 가칭 한국교회총연합회 출범예배를 앞두고, 돌연 전도협회가 탈퇴서를 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날 실행위 석상에서 전도협회 문제를 어떻게 다룰 것인지 모든 초점이 맞춰졌다. 개혁총회의 액션에 대해서도 관심이 모아졌다. 하지만 정작 실행위에서는 특별한 과정 없이 유야무야 넘어 갔다. 한기총은 전도협회와 관련 자신들이 절차도 무시한 채 행정보류한 것처럼 알려지도록 놔둔 것(?)에 아무런 사과도 없었다.

이에 현장에서 개혁총회 증경총회장인 김송수 목사가 전도협회 행정보류가 기정사실인 것처럼 보도한 언론사의 오보와 관련, 절차상의 문제를 지적하면서 대표회장과 사무총장의 사과와 입장을 되묻기도 했지만, 어디까지나 그 뿐이었다. 돌아오는 대답은 전도협회가 탈퇴를 해서 실행위에서는 특별히 다뤄지지 않았기 때문에 절차상의 문제가 없다는 것이었다. 다만 언론사의 인터뷰와 관련해서만 사무총장에게 주의를 주는 식에서 끝났다. 1년전 아무런 문제 없이 정식으로 단체 가입을 허락한 한기총이 별안간 이단조사를 하겠다고 나선 경위와 그 과정 속에서 불거진 절차상의 문제에 대해서는 별다른 코멘트가 없었다.

개혁총회로서는 분명 통탄할 일인데도 여전히 침묵했다. 실행위에 앞서 “전도협회가 당하는데 교단이 왜 가만히 있느냐”는 교계 언론의 지적에 기자회견을 자처해 “사회법정에 고발하고, 다투는 모습이 해결책은 아닌 것 같다”며 말한 것처럼, 고함을 치거나 다투지 않고 얌전히(?) 대처했다. 산하 단체가 거대한 힘의 원칙도 무시한 처사로 인해 심각한 내상을 입었음에도, 별다른 액션을 취하지 않았다. 그들이 선택한 방법은 그저 참는 것이었다.

그러나 실행위에서는 반드시 소리를 냈어야 했다는 지적이다. 한기총이 전도협회뿐 아니라, 이러한 절차를 무시한 행태를 또 보일 수 있다는 점에서, 당사자격인 개혁총회가 선지자로서의 따끔하게 꾸짖어 재발을 방지했어야 했다는 주장이다. 조용하게 하든지, 시끄럽게 하든지 방법의 문제가 아닌 개혁총회가 어떠한 방법으로든 반드시 “할 말은 했어야 했다”는 것이다. 더욱 안타까운 것은 앞서 기자회견에서 “임원회나 실행위에 가서 따져 묻겠다”고 호언장담한 조경삼 목사 부총회장마저 침묵으로 일관했다는 점이다.

문제는 실행위에서 모두 해결된 것처럼 보이는 전도협회의 문제가 여전히 불씨가 살아있다는 점이다. 실행위에서는 전도협회가 탈퇴했기 때문에 모든 문제가 끝이 난 것처럼 스리슬쩍 넘어갔지만, 이를 바라보는 주변 시선은 다르다. 이를 뒷받침 하듯이 통합의 주체자인 한교연에서는 전도협회의 탈퇴로 모든 문제가 해결된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다. 전도협회 인사들이 개혁총회 회원권을 그대로 쥐고 있다는 생각에서다. 따라서 언제든지 개혁총회를 정조준 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이러한 상황임에도 침묵의 방법을 선택한 개혁총회 인사들에게 책임추궁이 뒤따르고 있다. 중요한 것은 자칫 개혁총회로까지 화가 번질지 모르는 상황에서 개혁총회 인사들이 이번에도 침묵의 방법을 선택할 지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기독교한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